4월의 막바지, 포항 죽천해변을 거닐다
매양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지만, 시간의 속도는 그 무엇보다 빠르다. ‘푸른 용이 여의주를 물고 온다’는 갑진년 벽두에 술렁이는 마음으로 새해 희망을 설계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미 올해의 1/3이 흘러버렸다.
외투 깃을 올려 세우던 1~2월 추위가 지나고, 3월엔 개나리와 매화를 필두로 벚꽃과 목련 등 봄꽃들이 피었다 지고, 중국에서 몰려온 누런 황사에 따가운 눈을 부비며 넣어뒀던 마스크를 꺼내 낀 채 거리를 걸었던 4월도 이제 막바지다.
때론 날이 궂고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위협하는 날들도 있지만, 그래도 봄은 산책하기 좋은 계절. 굳이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의 “세상 모든 위대한 생각은 걸을 때 떠오른다”는 문장을 가져다 쓰지 않더라도.
멀지 않은 거리에 해변 여러 개가 있어 마음만 먹으면 언제라도 푸른 바다와 부서지는 하얀 포말을 만날 수 있는 포항은 어떤 면에선 축복받은 도시다.
한적한 4월의 주말 오후. 양덕동에 자리한 시내버스 207번과 600번 종점에서 20~30여 분만 걸으면 닿을 수 있는 죽천해수욕장으로 봄 산책을 나선 건 ‘오랜만에 자연 곁에서 걸어볼까’라는 가벼운 마음에서였다. 감히 니체 흉내를 내서 ‘위대한 생각’을 하겠다는 건 아니었고.
□ 한산하고 고적한 죽천해변이 주는 즐거움
최근 몇 년 새 각종 드라마와 TV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통해 포항은 여행자들 사이에서 ‘떠오르는 핫 플레이스’가 됐다.
드라마 촬영지로 이름을 알린 구룡포와 월포해수욕장엔 젊은 관광객들이 적지 않게 찾아와 과메기와 대게를 맛본 후 일본인 가옥거리를 돌아보고, 파도타기 등 해양 스포츠를 즐긴다.
한국에선 드물게 시내 한복판에 위치한 영일대해수욕장은 다양한 형태의 카페와 주점, SNS로 유명해진 맛집이 집중적으로 몰려 있어 사철 20~30대 청년들로 북적인다.
죽천해수욕장은 앞서 말한 유명 관광지처럼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해변은 아니다. 그러나, 시끌벅적한 관광지가 아닌 한산하고 고적한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매력을 느낄만한 공간임에 분명하다.
인터넷에서 한국의 주요 여행지와 숙박업소, 소문난 맛집 등을 사진과 함께 간략하게 안내하는 ‘트립인포’는 죽천해수욕장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죽천해수욕장은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죽천리에 있다. 광활한 동해를 배경으로 차박을 즐기기 좋은 명소로 알려지면서 전국 각지에서 많은 캠퍼가 모여든다. 낚시를 즐기는 여행자들도 즐겨 찾고, 여름 휴가철이면 해수욕을 만끽하고자 찾아오는 가족 단위 여행객도 많다. 포항IC에서 가깝고, 주변에 포항 해상스카이워크와 환호공원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직접 가서 확인한 결과 위의 소개 중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였다. 시야가 확 트인 널찍한 모래밭과 시원스레 펼쳐진 바다 풍경은 동해에 접한 여느 마을처럼 분명 근사했다.
하지만, 차박을 준비하거나, 물고기를 낚는 이들은 한 명도 보이지 않았다. 물론 사람이 드물었던 이유는 아직 해수욕장이 진가를 발휘하는 여름이 아닌 이유도 있었을 터. 포항 시내와 그리 멀지 않음에도 인적이 드문 촌락 같은 풍경.
조그만 텃밭에서 기른 마늘을 손질하던 할머니 한 분이 처음 보는 낯선 사람임에도 망설임 없이 기자에게 말을 걸어왔다.
“어디서 왔어요? 8월에 오면 여기가 해운대나 경포대 못지않게 좋아요. 그때가 되면 내가 저기서 성게국수랑 파전도 만들어 파니까, 한여름에 꼭 한 번 다시 와요.”
낯선 거리를 걷는다는 건 이처럼 예상치 않은 소박한 환대와 만나는 기쁨을 주기도 한다. 이런 게 바로 ‘산책의 즐거움’ 아닐지.
□ 산책길의 끝에서 떠올린 김광균의 시 한 편
따스하고 환한 웃음을 주고받으며 할머니와 몇 마디 더 이야기를 나눈 후엔 무작정 해변 마을 골목을 걸어 다녔다. 별다른 목적 없이 푸른 파도를 곁에 두고 청량한 봄볕 아래서 1~2시간쯤 걷는다는 건 나이·성별과는 무관하게 꽤 즐거운 일.
커피와 아이스크림, 맥주와 칵테일 등을 판매하는 올망졸망한 카페가 2~3군데 문을 열고 있었으나 손님이 많진 않았다.
죽천해변의 가장 큰 매력은 ‘한적한 평화로움’이라 할 수 있을 듯했다. 그리고, 이윽고 해가 저물기 시작했다. 바다를 지척에 두고 보는 석양은 비단 서해만 아름답진 않다. 동쪽 바다의 지는 해도 장엄하고 쓸쓸하기는 마찬가지다.
죽천해수욕장의 고졸한 풍경 속에서 지켜본 4월 막바지 저물녘은 자연스레 한 편의 시를 떠올리게 했으니, 김광균((1914~1993)의 쓴 20세기풍 노래 ‘와사등(瓦斯燈)’이다.
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려 있다
내 호올로 어딜 가라는 슬픈 신호냐
긴 여름해 황망히 나래를 접고;
늘어선 고층(高層) 창백한 묘석(墓石)같이 황혼에 젖어
찬란한 야경 무성한 잡초인 양 헝클어진 채
사념(思念) 벙어리 되어 입을 다물다
피부의 바깥에 스미는 어둠
낯설은 거리의 아우성 소리
까닭도 없이 눈물겹고나
공허한 군중의 행렬에 섞이어
내 어디서 그리 무거운 비애를 지니고 왔기에
길게 늘인 그림자 이다지 어두워
내 어디로 어떻게 가라는 슬픈 신호기
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리어 있다.
□ 봄날 해변을 걸으며 깨달은 작은 진실
북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끝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남한에서 죽음을 맞은 시인은 ‘피부의 바깥에 스미는 어둠’ 혹은, ‘공허한 군중의 행렬’에서 덧없는 인간의 삶을 읽어냈다.
물리적으로 무게가 없는 그림자가 무겁게 느껴지고, ‘어디를 거쳐 어디로 가라’는 신호기가 차단된 세상에서 외롭지 않은 사람은 없다.
또한, 고독하지 않은 생(生)도 없을 게 분명하다.
죽천해변에서 마주한 석양은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진실 중 작은 하나를 새삼 깨닫게 했다. 그건 바다의 가르침이었을까? 시인의 인생 해설이었을까?
2005년 4월. 1개월 일정으로 인도 남부를 여행했다. 아라비아해(海)에 접한 고아(Goa)는 1960~1970년대 제도부터의 자유와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지향하는 히피(hippie)들의 성지로 이름이 높았다.
1961년까진 포르투갈의 식민지였기에 소를 신성시하는 인도임에도 소고기 요리가 있는 지역. 인도이면서도 ‘인도다움’이 별반 느껴지지 않는 고아엔 수십 개의 해변이 있다.
독일과 프랑스, 스웨덴과 네덜란드에서 온 젊은 여행자들은 짧게는 1~2주, 길게는 몇 개월씩 언주나, 팔롤렘, 콜람 등의 이름이 붙은 해변의 허름한 숙소에 머물며 진홍빛 석양과 어울려 논다. 낮에는 수영을 하고 밤에는 파티를 즐긴다.
19년 전 바로 거기서 포항 죽천해변과 너무나 닮은 조용하고 한산한 베나울림해변을 만났다. 지는 해가 선사하는 심장 두근거림은 포항 죽천과 인도 베나울림이 다를 바 없었다. 바로 그 두근거림이 주제넘게 니체처럼 말하게 한다.
“비록 덧없고 고독할지라도 삶은 포기해선 안 될 빛나는 어떤 것이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