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길은 로마로 통한다.’라는 말처럼 로마는 정복지라 해도 도로와 수로를 만들어 시민의 일상적인 삶에 혜택을 골고루 부여했던 그들만의 지배 방식이었다.
도로란 반란에 대비해 정벌을 위한 것일 수도 있었고, 변방 민족이 침략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기반이기도 했다. 우리 조선시대 당시 ‘무도안전(無道安全)’이란 말이 있었다. 도로가 없어야 오랑캐와 왜구의 침략을 늦출 수 있다는 사고와 비교하면 들숨 날숨이 가빠진다. 약탈에 무방비로 노출된 변방의 하층민을 구해 줄 여유가 없다는 뜻이다.
알렉산드로스가 죽자 휘하 장수들이 그리스 본토를 비롯해 각 점령지역을 나누어 통치하게 된다. 흩어지면 반목과 갈등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힘이 고갈되어 가던 중 로마라는 거대한 쓰나미를 만났다. 로마는 기원전 3세기 중엽부터 대략 1세기 동안 포에니전쟁을 치르면서 카르타고를 점령하고 지중해와 오리엔트 지역에까지 위세를 떨쳤다. 남프랑스를 점령하면서 이탈리아반도 깊숙하게 쳐들어간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 명성도 로마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장군을 만나면서 막을 내렸다. 그는 ‘나의 허락 없이는 바닷물에 손도 담글 수 없다’며 서쪽 지중해를 장악하고 있던 한니발 숨통을 완전히 끊어버린다.
로마는 제국을 유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자원이 필요했다. 이때 로마가 눈을 돌린 것이 발칸반도다. 발칸반도에는 일리리언이 로마 상선을 털고 노략질을 일삼았다. 일리리언인 눈에 로마상선은 우리 바다를 휘젓는 침략자일 뿐이었다.
로마는 이들을 소탕코자 본격적으로 발칸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지금의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등 해상무역으로 살아가던 발칸반도 원주민 격인 일리리언인의 저항에 부딪혔다. 하지만 최강의 군사력을 자랑하는 로마군을 막을 수 없었다. 로마는 아드리아해 서쪽 해상로를 쉽게 장악했다. 마케도니아마저 굴복시킨 로마는 기원전 146년, 비실대는 스파르타를 마지막으로 그리스를 완전히 정복하고 도나우강 남쪽 영역 발칸반도는 로마 우산 속에 들게 된다.
기원전 28년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가 권력을 잡으면서 제정시대가 열리고, 서기 9년 드디어 발칸 전 지역이 로마 제국에 완전히 무릎을 꿇는다. 이로부터 5백여 년간 로마의 철권통치를 받아야 했다.
시간이 흐르자, 아드리아해를 사이에 두고 사람들 스스로 로마와 그리스 역사가 뒤섞이는 경험을 이상하게 받아들였다. 신들의 땅 그리스가 곧 로마고 로마가 곧 그리스였다. 그리고 정령숭배, 즉 숲과 나무, 주피터, 태양신 등 다양한 신이 판치던 로마종교가 그리스신화를 만나면서 일취월장(?) 재창조된다. 시기와 질투, 폭력, 사랑 등 인성을 갖춘, 인간보다 조금 더 크고 잘생기고 아름다운 그리스 신들에게 로마인으로서는 감히 신을 인간의 세계로 끌어들인 것에 묘한 쾌감을 느꼈다.
서기 3세기 말이 되자 드디어 발칸반도에서 황제가 나온다. 첫 번째 인물이 디오클레티아누스(244~311, 재위 285~305)다. 지금의 달마티아 땅에서 태어난 그는 태생적 하층민 자손이었다. 황제 친위대를 이끌던 그는 누메리아누스 황제가 암살되면서 군인들 추대로 황제에 등극한다. 그리고 발칸반도 판노니아 출신 동료 막시미아누스를 또 한 명의 황제에 올려 로마를 동서로 구분해 서쪽을 맡긴다.
황제는 각각의 정부에 부제를 두어 통치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4두 정치(4분치제도·四分治制度)에 돌입한다. 이때 막시미아누스 부제 중 한 명이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였다. 그는 에스파냐에서 프랑스 지방인 갈리아와 오늘날 영국의 브리타니아를 맡았다.
‘4두 정치체제’는 군인황제를 종식하는 토대로 작용했다. 이러한 정치적 결단이 또 한 명의 발칸반도 출신 황제에게 날개를 달아주게 된다. 제국 수도를 비잔티움으로 옮긴, 기독교 공인 등 로마 역사에서 황제 중 큰 획을 그은 콘스탄티누스대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콘스탄티누스대제는 발칸반도 세르비아 동남부 지금의 니슈 지방에서 태어났다. 니슈는 동쪽 변방 국경을 노략질하는 고트족 방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아버지 콘스탄티우스가 고트족을 물리치기 위해 이곳을 지나다 여관집 딸이었던 헬레나와 사랑을 나눠서 태어난 아들이다. 황제에 오른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칙령’을 반포해 기독교를 정식으로 공인했다.
330년, 발칸반도 서쪽 끝자락 비잔티움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로마의 신권과 왕권을 모두 가져왔다. 궁극적으로는 진일보된 부활을 꿈꾸었지만, 이때부터 60여 년간 버려진 듯 남겨진 서로마 사람들과 갈등의 불씨를 묻어두게 된다.
정치권력이 비잔티움으로 이동하면서 로마에는 교황이라는, 교권을 시민 위에 두는 권위적이면서 신과 인간세계 구분이 확연하게 진화, 혹은 퇴화한 가톨릭이 자리잡게 된다. 반면 그리스와 발칸반도에는 신과 인간 사이에 중재자 없는 원리주의적인 동방정교가 뿌리내리면서 또 하나 종교 갈등이라는 뇌관이 작동한다.
/박필우 스토리텔링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