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세르비아주의 탄생과 식민지배 - 암흑기 세르비아

등록일 2025-07-29 18:44 게재일 2025-07-30 1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베오그라드 구시가지. 유럽풍과 동시에 동방 특유의 향수를 지니고 있다. 평일 오후나 주말이 되면 젊은이들로 북적이며 활기에 에너지가 넘치는 거리로 변모한다. /박필우 스토리텔링 작가

대 이슬람 코소보 항전 패전을 끝으로 세르비아에는 암흑의 시대가 찾아왔다. 세계 시대적 변화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었다. 단절된 공간, 세상과 완전히 격리된 채 이슬람 생활양식에 순응하면서 묵묵히 삶을 이어갔고, 어쩌면 목숨을 부지하는 것에 만족했을지도 모른다. 

종교가 달랐음에도 데브시르메(Devsirme), 즉 전쟁포로 중 소년 징발과 공납이란 방식에 의한 직업군인 에니체리에 기꺼이 발을 들이며 전쟁을 수행하기도 했다. 중앙아시아에서 발원한 희대의 살육자 티무르가 공격했을 때 이슬람 술탄을 위해 결사항전 했던 세르비아 병사들이었다.

이렇듯 지금에 와서야 유럽의 영역에 유입되지만, 당시에는 그저 이슬람제국 백성일 뿐이었다. 피지배민족은 봉건제도 아래 중앙과 분리된 느슨한 구조 속에서 충성을 다하며 질서에 편입된다. 종교가 비교적 자유로웠으니, 세르비아정교를 가지고서도 다른 이슬람민족과의 전투에 투입되어 전과를 올리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슬람 연구자들 주장대로 이교도 강제 개종금지는 성경 코란의 가르침인지도 모른다. 일련의 이러한 조건 속에서 종교단체 집단 거주지이자 통제를 위한 집단 밀레트를 중심으로 제국에 순응하면서 세르비아민족이라는 영속성을 간직할 수 있었다. 정교회라는 믿음을 보장받으며 오스만트루크제국 압제에 순응했다고 보는 견해가 있지만, 당시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있었을까.

Second alt text
오스만 관리와 그의 보좌관이 데브시르메 기독교 소년을 등록하는 상황을 나타낸 그림. 관리는 차출된 소년들의 의복과 이들을 이송하기 위한 비용을 세금에서 충당한다. /퍼블릭 제공

생활 수준도 다르지 않았다. 오랜 세월 오스만 지배를 받은 세르비아는 말 그대로 식민정책으로 문맹의 나라였다. 교육기관이라곤 세르비아에 대학교는커녕 중학교도 존재하지 않았다. 기껏해야 초등학교 두 개가 전부였다. 문화를 전파하는 인쇄소는 아예 꿈도 꿀 수 없었다. 세르비아어조차 배울 수 없어 그리스어를 공식 언어로 정해 학교에서 교육할 정도였다.

이웃 몬테네그로는 더 열악했다. 1834년까지 어떤 교육기관도 존재하지 않았다. 사정이 이러하니 세르비아 사람들은 합스부르크제국의 지배를 받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로 터전을 옮겨 사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다. 19세기 초 슬로베니아에는 초등학교가 1천 개를 넘었다. 세르비아인 귀에도 이런 소식이 들렸을 법했다. 그러자 당연히 크로아티아로 가면 잘살고,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국경을 넘기 위해 눈물겨운 사투를 벌여야 했다.

세상에 쉬운 일은 없었다. 도중에 목숨을 잃거나, 국경 수비대에 뇌물을 주고 겨우 성공하는 경우도 생겼다. 그러나 어찌 상상이나 했을까. 이렇게 목숨을 걸고 이동한 세르비아인이 크로아티아에 터전을 잡으면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훗날 배타적민족주의가 기승을 부리자 살육의 발판이 된다.

그러나 그 와중에 눈치 빠르고 발 빠른 인간이 있게 마련이다. 우리네 일제강점기처럼 제국에 빌붙어 자민족 고혈을 짜내는 인간도 생겼다. 메메드 소콜리에 의해 세르비아 정교가 활기를 띤다. 하지만 어떠한 관용에도 대가가 따라야 하는 법이다.

Second alt text
오스만 제10대 술탄 쉴레이만 대제(재위1520~1566). 46년 치세 동안 세 대륙을 가로지르며 13차례 대외원정으로 제국의 최전성기를 이룩한다. 법전을 편찬하여 제국의 제도를 정비한 업적으로 ‘입법자’라는 별칭도 얻는다. 쉴레이만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동시에 추앙받는 고대 이스라엘 왕 솔로몬의 튀르키예식 발음이다. /오스트리아 빈 박물관. 퍼블릭 제공

그리스마저 오스만트루크제국 발아래 들면서 통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세르비아 정교회를 그리스 정교 교구에 예속시켜 버리자 세르비아인은 자존심이 상했다. 세르비아정교회는 굴욕을 감수하고서라도 오스만트루크 지지를 얻어 독립교구로 거듭나고자 종교의 자율성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했다. 1557년 목표에는 성공했으나, 세르비아에 대한 오스만제국의 지배를 지지하며 정당화하는 악수를 둔다. 일련의 이 사건에는 오스만제국에서 재상의 자리에까지 오른 메메드 소콜리가 중심이 되었다.

 

Second alt text
박필우 작가

그는 이슬람으로 개종까지 해가며 술탄 쉴레이만의 수족 노릇을 톡톡히 해냈다. 세르비아 페치교구가 부활했고, 자신의 동생 마카리우스를 세르비아 주교로 올려 부흥의 기틀을 다지기도 했다. 엄격하게 바라보면 밀레트라는 종교조직 속에서 세르비아인 통제를 위한 과정에 불과했지만 말이다.

대신 산악지방이 대부분인 발칸반도 지형 상 트루크 귀족 지배에서 벗어난 농민의 패쇄적인 삶은 정체되기 마련이었다. 그러자 조직적인 항쟁은 오랜 세월 동안 꿈조차 꿀 수 없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세르비아정교라는 정체성은 꾸준하게 이어갔다. 하지만, 정복전쟁을 즐겼던 술탄 무스타파 2세(재위 1695~1703)는 정교회세력이 점차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페치 교구를 폐쇄해버린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세르비아정교회는 지지기반이 허약해지기 시작했다. 물론 종교 자체는 민중항쟁의 구심점에 있었지만, 이는 세르비아에 성인으로 추앙된 인물들이 가슴 뛰는 추억을 불러냈기 때문이다. 세르비아정교에는 대략 58여 명의 성인이 기록되어 있는데, 네마냐왕조 시조를 비롯해 세르비아정교회가 독립교구로 인정받을 수 있게 한 사바, 세르비아 최초 황제 스테판 듀산, 코소보 영웅 밀로슈 오빌리치도 이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18세기에 시작된 세르비아 항쟁은 민족적 항쟁이 아니라 발칸반도 분쟁사를 연구하는 학자들 주장처럼 신앙에서 파생된 순교자적 저항에 힘이 실린다.

/박필우 스토리텔링 작가

박필우의 맛보기 세계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