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백일몽을 부르는 봄 바다를 거닐며
까마득한 옛날, 그러니까 100여 년 전 어느 봄날. 미국의 젊은 시인 T.S.엘리엇(1888~1965)은 유럽으로 건너가 4월을 ‘가장 잔인한 달’이라고 쓴다.
화사하게 피어나는 꽃들과 추위를 피해 멀리 떠났던 새들이 웃으며 돌아오는 빛나고 환한 4월을 왜 ‘잔인하다’고 했을까?
몇몇 문학평론가는 그걸 세상과 인간을 비극과 한탄 속으로 빠뜨린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황폐화된 유럽을 떠올리며 쓴 문장이라 했지만, 아직까지도 정확히 알 수 없다. 왜 엘리엇이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는 혼잣말을 웅얼거렸는지.
한 세기를 넘어서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상징 가득한 문장을 쓴 작가는 이미 죽었으므로 그에게 “4월이 잔인한 이유가 뭔가”라고 물을 수도 없다. 망자(亡者)에겐 입이 없으므로.
엘리엇이 연분홍빛 봄이 완연한 4월을 잔인하다고 말한 시대를 지난 이후에도 적지 않은 작가들이 봄과 4월에 관한 문장을 썼다. 봄꽃, 봄날의 하늘, 봄 바다…. 소재는 저마다 다양했다.
여름 휴가철의 바다는 사람들로 득실댄다. 거기엔 사유(思惟)의 시간이 개입하기 어렵다. 골똘한 생각이란 외로움 속에서 잉태되는 것이기에.
겨울의 바다는 그 차가움과 막막한 단절감 탓에 사고(思考)의 뿌리가 뻗어가기 쉽지 않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 칠포 바닷가에서 떠올린 백일몽 같은 졸시
인간의 상상력과 시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으로는 ‘봄 바다’가 으뜸이라는 게 기자의 생각이다.
‘백일몽(白日夢)’이란 환한 대낮에 꾸는 꿈이다. 또한, 이뤄질 수 없는 열망의 은유로 사용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세속도시의 4월이 너무 갑갑해 지난 월요일 오후 버스를 타고 백일몽을 불러다줄 봄 바다를 찾아 나섰다.
시내에서 겨우 40분 남짓 달렸을 뿐인데, 포항 흥해읍 칠포해수욕장은 마치 세상과 아주 멀리 떨어진 피안(彼岸)인 듯 고요하고 아름다웠다.
말을 섞을 사람이 없었으므로 홀로 오랫동안 해변을 거닐었다. 보채는 파도 소리가 요요했고, 소나무 사이로 따스한 바람이 술렁이고 있었다.
젊은 시절 쓴 ‘백일몽’ 같은 졸시(拙詩) ‘출생의 비밀’이 떠오른 건 그 순간이었다. 이런 노래다.
범선으로 요하네스버그를 떠나 마다가스카르에 도착한 아버지는 목덜미에 나비를 문신한 인도계 아프리카인. 파타고니아에서 태어나 해변으로 밀려온 혹등고래를 치료해준 엄마는 마드리드 뱃사람과 아르헨티나 원주민의 피가 섞인 붉은 얼굴의 메스티소였다.
바나나를 따서 남태평양 폴리네시아 군도를 오가던 아버지는 초록빛 빙산을 타고 보라보라섬 사촌언니를 찾아온 엄마를 에메랄드빛 산호초가 꺼이꺼이 우는 타히티 북부 갈대숲에서 만났다. 1871년 봄이었다.
엄마는 망고스틴 여섯 개를 건네는 아버지의 흙 묻은 손바닥을 얼굴로 가져가 달콤하게 핥았다. 둘이 몸을 섞은 얕은 바다에선 일만 년에 한 번 꽃을 피운다는 맹그로브 사이로 뜨거운 바람이 웅얼거렸다. 원주민들은 뜨지 않는 달을 기다렸다.
여섯 달 후. 아버지는 조각된 여신상을 실은 목선을 타고 바그다드로 떠났다. 움직이는 섬에 오른 엄마 역시 북서쪽으로 흘러갔다. 외눈박이 숙부가 야자유 일곱 병을 들고 나와 배웅했다. 동아시아 낯선 항구에 도착한 엄마는 백년 후 사내아이를 낳았다. 나는 1971년 부산에서 첫울음을 터트렸다.
□ 봄 바다의 일몰은 삶과 죽음 떠올리게 해
기자가 동해 칠포해수욕장에서 한낮의 봄 바다가 선물해준 백일몽 닮은 열망에 들떴다면, 또 다른 어느 봄날 시인 문정희는 서쪽 바닷가에서 지는 해를 보며 ‘산다는 것과 사라진다는 것’에 관한 사색을 이어갔던 듯하다. ‘바다 앞에서’라는 시다.
문득, 미열처럼 흐르는
바람을 따라가서
서해바다
그 서럽고 아픈 일몰을 보았네
한 생애
잠시 타오르던
불꽃은 스러지고
주소도 모른 채
떠날 채비를 하듯
조용히 옷을 벗는 해안선을 보았네
아, 자연
당신께 드리는 나의 선물은
소슬히 잊는 일뿐
더운 호흡으로 밀려오던
눈과 파도와
비늘 같은 욕망을
잊는 일뿐이었네
잊는다는 일 하나만
보석으로 닦고 있다
떠나는 날
몸과 함께 땅에 묻는 일이었네.
돌아보면 사람의 삶과 죽음이란 ‘잠시 타오르던/불꽃은 스러지고/주소도 모른 채/떠날 채비를 하는’ 것에 불과한 게 아닐까?
시인이 서해에서 떨어지는 붉은 해를 보며 간파해낸 인생의 진실을 여러 차례 곱씹어 행간의 의미를 고민해볼까?
그러면, 허위허위 살다가 덧없이 사라지는 인간의 생애 자체가 ‘백일몽’과 다를 바 없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을 것 같다.
□ 한낱 헛된 꿈같은 삶을 제대로 살아가기 위해선
이루어질 가능성이 낮은 들뜬 열망 같은 삶. 대낮에 꾸는 잡스런 꿈을 닮은 생애. 그러나, 그렇다고 인간이 살아가는 행위 자체를 ‘헛되고 헛될 뿐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가벼이 말할 수는 없는 법.
오세영 시인이 쓴 ‘바닷가에서’는 이 부박한 세상 속에서 어떤 삶을 지향해야 인간에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사는 길이 높고 가파르거든
바닷가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를 보아라
아래로 아래로 흐르는 물이
하나 되어 가득히 차오르는 수평선
스스로 자신을 낮추는 자가 얻는
평안이 거기 있다
사는 길이 어둡고 막막하거든
바닷가
아득히 지는 일몰을 보아라
어둠 속에서 어둠 속으로 고이는 빛이
마침내 밝히는 여명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는 자가 얻는
충족이 거기 있다
사는 길이 슬프고 외롭거든
바닷가
가물가물 멀리 떠 있는 섬을 보아라
홀로 견디는 것은 순결한 것
멀리 있는 것은 아름다운 것
스스로 자신을 감내하는 자의
의지가 거기 있다.
노시인은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와 ‘가물가물 멀리 떠 있는 섬’과 만난 봄 바다에서 진지하고 의미 있게 삶을 살아갈 방법을 찾아냈다. 우리도 그럴 수 있을까?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