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탈원전 정책에 영구정지 처분 월성1호기 해체작업 본격 돌입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4-01-31 20:18 게재일 2024-02-01 1면
스크랩버튼
한수원, 해체계획서 원안위 제출<br/>주민공청회 열고 의견 수렴 계획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019년 말 영구정지처분이 내려진 월성1호기에 대한 해체준비작업이 본격화됐다.

한수원은 월성1호기 해체계획서 초안을 31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한데 이어 이달 8일부터 60일간 해체계획서 초안에 대한 주민공람 등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초안에는 원전해체일정, 원자로 등 기기와 시설해체계획, 해체방사성폐기물 처리, 주변지역 환경영향평가 결과 등이 포함됐다.


주민공청회는 경주를 포함 포항·울산 등에서 열린다.


한수원은 공청회틀 통해 주민들의 의견수렴 과정에 나온 결과를 반영한 해체계획서 최종안을 확정한 다음 오늘 7월쯤 원안위에 월성1호기 해체승인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가압중수로형 원전인 월성1호기는 영구정지된 가압경수로형인 고리 1호기와 마찬가지로 원안위로부터 원전해체 승인취득을 해야 해체작업에 들어갈수 있다.


한수원측은 조속한 해체승인을 위해 원안위와 적극적인 소통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경주에는 월성1호기와 같은 중수로형 원자로를 해체하는 연구시설인 중수로 해체기술원이 건설중이다. 지난해 12월 경주시 양남면 나산리에 착공한 중수로 해체기술원은 723억원을 투입, 오는 2026년 3월 준공예정이다.


중수로 해체기술원이 준공되면 중수로 노형인 월성1호기 해체작업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등 핵심적 역할을 하게된다.


월성1호기가 안전하게 해체된다면 중수로 기술원에 의한 세계최초 원전해체사례로 기록되고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원전해체에는 보통 15년이 소요되며 사용후 핵연료 반출, 방사성 시설 제염, 부지복원 등 을 마칠때까지 고도의 원전해체기술이 요구된다.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를 안전하게 해체작업을 마무리하면 향후 100년간 550조원이 예상되는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주/황성호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