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첫 산행을 했다. 몇 년 전부터 월 1회 산행계획을 세웠었지만 점차 바빠지는 일상 속에 번번이 못지켜져서 여간 아쉽지가 않았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정말 건강도 챙길 겸 산과의 교감을 통해 좀 더 새롭게 거듭나자는 나와의 약속을 다지며 첫 산행을 하게 된 것이다.
산은 늘 그 자리에서 언제나 반기고 품어주는데 무엇에 쫓기고 발목이 잡혀 가까운 산조차 즐겨 찾지 못했던 것일까? 핑계 같은 변명이지만 산행에 대한 나의 의지가 약해졌거나 계획실행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났기 때문일 것이다.
마침 오래 전부터 뜸하게 참여하던 모 산악회에서 시산제 산행을 가까운 경주 오봉산으로 한다기에 선뜻 신청하여 함께 떠나게 됐다. 경주시 건천읍에 소재한 오봉산(五峯山)은 다섯개의 봉우리가 올망졸망 서 있는 모양새를 따서 닭벼슬산으로 불리기도 하며, 선덕여왕의 3대 대표 유적지인 ‘여근곡’과 정상 부근의 거대한 바위벼랑 ‘마당바위’ 등으로 유명한 곳이다. 산행에 동참한 일행은 건천읍 신평리의 주차장 한 켠에서 서남쪽으로 둘러쳐진 오봉산을 병풍삼아 시산제 제단을 마련하고 상차림과 제례를 준비했다.
시산제(始山祭)는 산악인들이 새해에 산신령에게 올리는 일종의 제사의식으로, 한 해의 안전한 산행을 기원하고 먼저 간 산우들의 추모와 산행의 무사함을 빌면서 산악회의 전통과 정신을 담는 중요한 행사라 할 수 있다. 새해 첫 산행의 시산제를 통해 산신령에게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산악회의 철학과 신념을 나타내며 산악인의 단합과 발전을 도모하기도 한다. 이러한 염원을 담아 정성스럽게 올린 시산제를 마치고는 간단한 음복과 음식 나눔으로 새해 덕담을 나누거나 근황을 얘기하며 이내 친숙한 분위기에 젖어들기도 한다.
시산제의 의식을 치른 뒤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되면서 일행은 작은 마을과 저수지를 지나 천년 고찰 유학사 용왕당 앞의 소원돌을 돌려보기도 하고, 여근곡의 중심부에 있는 신비스러운 옥문지(玉門池)의 샘물을 받아 마시며 목을 축이기도 했다. 계단과 가파른 등로를 한참 오르니 능선으로 이어지는 탁 트인 시야에 건천읍 일대가 한눈에 들어와 가슴 속까지 시원해지는 듯했다. 이윽고 오봉산 정상에서 등정의 예를 갖추고, 정상 바로 아래의 거대한 바위마당에 둘러앉아 점심 도시락을 먹으며 옛 신라 화랑들이 바위마당에서 길렀다는 호연지기를 상기하기도 했다. 또한 정상 부근의 주사암 암자에서 울리는 염불과 목탁소리를 들으며 대웅전과 요사채에 세로로 걸린 주련(柱聯)의 한문 문구를 훈독하기도 했다.
하산길은 언제나 여유롭고 느긋하다. 천천히 발걸음을 옮기며 일행들과 못다 한 대화를 나눈다거나 올라갈 때 미처 못 본 정경을 눈에 담으며 안도하기도 한다. 산은 오르는 사람에게 늘 많은 것을 베풀고 들려주며 보듬어준다. 올해부터는 정말 작은 것 하나라도 제대로 실천하고 뭔가 변화되는 루틴을 확고하게 살려 바쁜 듯이 느긋하게 일상을 채워가리라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