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시그니처 컨퍼런스 개막<br/>전문가 250여명 관련기술 논의<br/>지역 주력 ‘바이오·배터리’ 연계<br/>신산업 창출 시너지 효과 기대
1일 포스코 국제관 국제 회의장에서 포스텍 주최로 ‘포스텍 시그니처 컨퍼런스 2023’ 개막식이 개최됐다. <사진>
이번 국제회의에는 과학자 및 연구원 등 다양한 양자 분야 전문가 250여 명이 모여 국제 공동연구와 교류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양자물질, 초전도 양자소자, 양자광학 등에 대해 토론하며 양자기술 미래를 위한 기초 연구기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주요 연사로 나선 김필립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와 포스텍 김윤호 교수는 각각 ‘미국의 양자기술 연구 현황 및 국제 협력의 중요성’과 ‘약한 상호 작용 및 측정을 통한 양자 시스템 연구’를 주제로 강연했다.
또 윌리엄 올리버 매사추세츠 공과대 물리학과 교수와 이르판 시디키 UC버클리대 물리학과 교수 등은 양자 전문 분야에 대한 강연을 했다.
양자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물질이 갖는 에너지의 최소 단위를 말하며, 양자기술은 이런 특성을 활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고속 연산, 초신뢰 보안, 초정밀 계측을 가능케 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말한다.
양자기술은 바이오 분야에서는 신약 후보 물질 도출과 고감도 양자 바이오 센서(바이러스 신속 검출)에 사용되고, 제조·반도체 분야에서는 양자 컴퓨터 기반 생산 계획 설계와 반도체와 배터리의 결함 분석에 활용되는 등 미래 산업계 모든 분야의 판도를 바꾸고 혁신을 불러올 게임체인저로 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유럽·중국·일본 등의 국가들은 양자기술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술개발과 인력양성, 산업 생태계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최근 양자기술 개발을 위해 양자과학 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법을 의결하는 등 전방위 지원 정책을 발표하는 한편 양자기술을 12대 국가 전략 기술로 선정한 바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추후 양자기술 연구를 포항시의 주력 산업인 바이오 및 배터리 산업에 활용하면 신산업 창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구경모기자 gk090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