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완벽한 조직을 만드는 혁신리더십

등록일 2023-10-29 17:00 게재일 2023-10-30 18면
스크랩버튼
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포스코의 현장 혁신활동 중에는 개선리더 활동이 있다. 말 그대로 개선 역량이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공장 별로 평균 3~4명의 인원을 선발해 개선팀을 구성, 현업에서 4개월간 빠지게 하여 현장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약 1주일간 일과 낭비 개념 낭비발굴 방법과 개선기법에 대한 기본교육을 이수하고 이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면서 일하는 법을 배우고 성공 체험을 통해 현업에 복귀해서도 개선을 이어 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리더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 등에서 목표 달성이나 방향을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래서 카리스마가 있거나 소통을 잘 하는 사람이 리더십이 있다고 표현한다. 그러나 리더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조직 내 다른 사람을 이끄는 책임을 갖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즉 현재의 위치에서 역할이 무엇인지 잘 알고 조직의 긍정적인 성과를 만들어가면 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개선리더도 현장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해결하여 성과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는 리더이며 4개월이 완료되는 시점에 사람의 변화와 성과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내야하는지 모두가 잘 알고 있다. 그렇기에 사람의 역량 향상은 물론 개선 결과가 좋은 성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체크와 피드백을 해 주면서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 개선활동에 있어 리더의 역할이다.

혁신활동에서 공장이나 그룹과 같은 리더의 또 하나의 역할은 본인이 맡고 있는 일의 본질을 파악하고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한 후 현상과 목표의 차인 문제를 정의하여 조직원이 역량을 발휘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인 문제점들을 빠짐없이 도출하고 적임자를 선정하여 언제까지 어디까지를 정해주고 지속적으로 피드 백 해주어 좋은 성과가 나도록 과정을 체크하고 지원해주는 역할이 곧 혁신리더십이다.

여기서 일의 본질이란 본인의 업무가 고객의 관점에서 돈을 지불할 가치가 있는가를 기준으로 보면 된다. 제조업은 좋은 제품을 싸게 만들어 고객이 필요한 때 공급하는 것으로 즉 Q.C.D(Quality Cost Delivery)를 말한다. 설비를 정비하는 업은 고장이 나지 않도록 예방하거나 고장이 나면 신속 정확하게 수리하는 것이며, 제품의 품질이나 정도를 분석하는 업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객이 필요한 정보D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람은 제품이 아님에도 가끔 불량이라는 단어를 쓰는 때가 있다.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역할을 모르거나 엉뚱한 행동을 할 때 태도나 자세 불량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제 역할을 못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완벽한 개인은 없어도 완벽한 조직은 있다는 말이 있다. 완벽한 조직은 각자가 서로 다른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 하면서 맡은 역할을 다하는 리더가 될 때 가능한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