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의 아름다운 저녁이었다. 천혜의 섬 울릉도 도동항에 간간이 뱃고동 소리가 들려오는 도동여객선터미널 옥상 공원에서 시와 음악이 흐르고 해녀들의 삶과 애환이 물결처럼 여울지는 새로운 문화가 피어났다. 바다를 지키고 가꾸며 바다와 함께 적극적인 삶을 살아온 울릉도 독도 해녀해남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나는 해녀랍니다’ 주제의 해녀 문화제가 열린 것이다. 이러한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 2023년 ‘문화가 있는 날’ 지역특화 프로그램 ‘한 점 섬에 살거나’의 공모사업으로 울릉도에 거주하는 해녀들과 지역 문화예술인·동호인·관계기관 등의 참여와 협조로 이뤄졌다.
햇살 좋고 바람 선선한 휴일 늦은 오후, 울릉도 주민들과 관광객 등이 설렘과 기대로 삼삼오오 공원으로 모여들고 갈매기들도 궁금한지 공중을 선회하며 문화제를 반기는 듯했다. 한 켠에 마련된 시식코너에는 해녀들이 직접 잡거나 채취한 문어·전복·소라 등을 맛볼 수 있었고, (사)독도재단에서는 설문지에 따라 독도 배지 등의 기념품을 나눠주는 등 작은 축제마냥 약간 들뜨는 분위기였다.
그런 가운데 울릉도 해녀들의 축하 공연을 시작으로 해녀의 삶을 생생하게 들려준 해녀 이야기, 경북문협 울릉지부장의 해녀에게 바치는 자작시 낭독과 포항시낭송회 3명의 회원이 해녀, 해남 차림으로 3편의 시를 시극(詩劇)으로 펼쳐서 의미를 더했다. 또한 제주도에서 활동 중인 현대무용팀 ‘팀오르다’의 해녀 물질을 주제로 한 무용은 잔잔한 감동을 선사했으며, ‘유네스코 해녀의 가치’ 강연에서는 울릉도 해녀의 삶과 활동, 역사와 의의를 이야기해 해녀들을 이해하고 가치를 간접적으로 느끼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축하공연으로 울릉군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단체인 팀포유색소폰, 울릉아리랑, 독도팝스오케스트라, 통기타를 사랑하는 모임 등이 출연하여 행사의 흥을 더하며 인기를 끌었다.
경북에서 처음으로 열린 이번 울릉도·독도 해녀 문화제를 통해 해녀의 삶이 재조명되고, 해녀를 주제로 한 다양한 스토리와 울릉도의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현재 울릉도에는 9명의 해녀가 살고 있는데 모두 제주 출신이다. 이들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제주해녀문화와 함께 독도주민, 독도의용수비대와 더불어 독도의 바다를 일구고 지켜온 산증인이다. 제주출향해녀들의 물질이 울릉도 독도를 이어주고 일궈왔지만, 고단하고 힘겨운 해녀들의 삶의 가치와 의미가 거론되거나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 지난 4월 ‘울릉도독도해녀해남보전회’가 결성되고 해양아카데미가 열리는 등 해녀에 대한 인식변화와 처우개선의 움직임이 보여 다행스럽다. 최근에 경북해녀협회가 창립된 것도 향후 해녀문화 조성과 네트워크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바다의 밥상을 차려주는 해녀들은 바다의 자원이다. 울릉해녀문화제가 제주도에서 매년 열리고 있는 ‘제주해녀축제’와 연계해 세계 유일의 여성공동체 문화인 해녀어업문화의 전승과 보전을 위한 교류와 협력, 육성과 지원 등으로 해녀문화를 선도하고 경북 해녀활동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