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드라마 ‘대장금’에서 배운다

등록일 2023-10-22 17:07 게재일 2023-10-23 18면
스크랩버튼
김종찬 포스코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김종찬 포스코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2003년 KBS에서 방영한 드라마 ‘대장금’은 조선 중종 때 천민의 신분으로 궁궐에 들어가 궁중 최고의 요리사가 되고, 뛰어난 의술과 높은 학식으로 엄격했던 신분제도를 타파하고 임금의 주치의가 되는 주인공 장금이의 성공 스토리를 감동적으로 그렸다. 500년 전 이 땅에 실존했던 여성의 파란만장한 삶의 궤적을 그린 드라마는 시청률 57.8%를 돌파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임금의 수라상을 책임지는 수라관은 궁녀들 중에서도 가장 으뜸 궁녀가 선망하는 곳. 최고 상궁 자리는 궁녀 중 최고의 권력자라 할 만하다. 주인공 장금이가 어머니의 유지를 이어받아 꿈꾸는 자리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수라관은 대대로 최 대감댁 여식들이 차지해왔다. 병들어 물러서게 된 최고 상궁을 비롯해 그 밑의 최 상궁은 최고 상궁 자리를 노리는 강력한 후보. 그러나 아직 연륜이 부족해 대전 제조상궁의 말을 받아들여 적절한 시기에 최고 상궁 자리를 이어받고자 허수아비로 정 상궁을 내세운다.

이 정 상궁이란 인물은 한때는 수라간 최고 상궁 자리를 두고 겨뤘을 만치 요리 솜씨가 빼어났던 인물. 그러나 권력 암투엔 뜻이 없어 밀려난 후 장고(젓갈을 지키는 창고)만 지키며 생아씨들과 노닥거리며 유유자적하는 걸 즐거움으로 여긴다. 그러던 중 최고 상궁 자리가 오자 그 자리가 허수아비임을 즉시 간파한다. 그러나 피할 수 없음에 응하고는 ‘그냥 편히 살까, 아니면 어렵게 살까’ 고민하지만 이내 마음을 굳히게 된다.

그저 쉽게 살려고 했다면 경쟁자들 기대대로 허수아비 역할을 해줬겠지만, 첫 수라상 마련할 때 제대로 보여준 것. 그걸 보고 이런 생각을 했다. 비록 장고에 밀려났다고 해서 마냥 손을 놀려 두었다면, 저렇게 비장의 카드를 꺼낼 수 있었을까. 정 상궁은 불우한 처지를 한탄하는 데만 급급한 게 아니라, 그는 장고에서도 자신을 갈고 닦았던 것이다.

우린 살면서 실기하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한탄만 하고 있어선 반전의 기회를 잡을 수 없다. 또한 실기하고 납작 숨어지내야 할 때는 철저하게 위장해야 한다. 심중을 숨기고 맨날 노래나 부르며 노닥거렸던 정 상궁이나 천둥 번개에도 무서워 도망가던 유비처럼 말이다.

또한 지나치게 똑똑한 척 나서서도 안 된다는 걸 장금을 보고 배운다. 똑똑한 사람은 은연중 자신의 재주를 알아주길 바라기 때문에 안 해도 될 말을 하게 된다. 제 똑똑함을 숨기지 못해 그 재주를 시기한 조조에 의해 죽은 양수를 떠올려보자. 명약관화해진다. 신중함과 의중을 들키지 않는 일은 세월이 하 수상할수록 더욱 절실히 필요한 일이다. 눈앞에 어려운 일이 닥쳤다면 배움의 기회가 지금 또 내게 왔다고 생각하면 모든 게 가벼워질 일이다.

시기심과 열등감이 자부심과 소속감을 몰아내고 나면 그 자리에는 무기력과 패배의식만 남는다. ‘내가 옳다면 화낼 필요가 없고, 내가 틀렸다면 화낼 자격이 없다’는 마하트마 간디의 말은 이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여전히 날카롭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