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은 ‘문화의 달’ 답게 행사와 축제가 즐비하다. 전국각지에 다채로운 문화·체육행사가 늘어나고, 지역특색을 살린 테마축제들이 연이어지고 있으니 그야말로 하루하루 축제같고 선물같은 나날이다. 햇살 좋고 적당한 기온에 바람마저 부드러워 나들이나 야외활동하기에 안성맞춤인데, 눈길 닿고 발길 머무는 곳마다 볼거리, 즐길거리를 입맛대로 누릴 수 있으니 한결 가을날이 풍요로워지는 것 같다. 들뜨고 설레는 마음으로 축제에 참여하고 전시나 공연을 관람하다 보면, 어느새 자신도 모르게 축제마당에 빠져들어 어깨춤이 덩실덩실 춰질지도 모른다.
지난 주 목요일부터 4일간 포항 일원에서 열린 ‘제15회 일월문화제’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개막행사와 주제공연, 기획전시, 체험 및 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포항문화예술회관, 해도도시숲,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등지에서 코로나19의 시름과 위축을 완전히 떨치며 4년만에 제대로 다채롭고 풍성하게 열린 것이다. 이러한 일월문화제는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연오랑(해), 세오녀(달) 부부의 설화에서 비롯된 고유의 일월사상을 기리며 전통문화 유산을 보존, 계승시키는 종합문화예술축제로 격년마다 개최돼 왔다.
특히 일월문화제의 개막을 알리며 전야행사로 열리는 연오랑·세오녀 부부 선발대회는, 포항시에 거주하는 선남선녀가 두루마기와 치마 저고리 등 우리 고유의 한복을 입고 맵시를 뽐내며 부부 금슬과 장기자랑, 발표력, 관객 응원 등을 심사해서 뽑게 된다. 올해는 30~70대까지 각 읍면동 대표로 16쌍이 출전해 저마다 멋스런 행진과 독특한 자랑, 재치있는 표현 등으로 관객들과 호흡하고 공감하며 눈길을 끌어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이렇게 선발되는 연오랑 세오녀 부부는 지역 고유의 일월신제 헌관으로 봉행, 포항시 공식행사 참여 및 홍보대사·해외 문화사절 등의 역할로 포항을 빛내고 알리게 되며, 빛과 개척의 포항 정신을 대변하기 위해 1983년부터 이어져 올해 22회째를 맞았다.
‘연연이 이어 온 해와 달의 드리움이/오늘날 일월문화의 꽃으로 피어나/낭랑한 동해의 파도로 노래하고 있구나//세세년년 사무치는 연오랑이여! 세오녀여!/오랜 세월 일월의 땅 가꾸고 지켜와/여명을 밝혀주는 꿈, 여기는 대대손손 빛나는 포항이어라!’
-拙 즉흥 육행시 ‘연오랑 세오녀’ 전문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정도의 빼어난 외모와 맵시, 덕목을 갖춘 사람은 주목을 받아왔고 회자되고 있다. 특히 현대 들어 전국춘향선발대회나 지역의 특산물 홍보를 담당하는 영양고추아가씨 등의 미인대회가 있다지만, 지역을 대표하는 모범부부는 연오랑 세오녀 부부 선발대회가 전국적으로 유일하다. 단순히 전해 내려오는 설화 속 인물 재현의 선발이 아니라 포항의 정체성 발현과 고귀한 향토문화 유산의 현대적인 계승, 발전 그 이상의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효행과 봉사, 맵시와 덕행으로 포항시민들의 귀감이 되는 연오랑 세오녀의 꿈과 멋이 포항의 저력과 경쟁력이 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