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은 정부의 신규 국가산업단지 공모에서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로 선정돼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메카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지구촌 곳곳이 폭염과 홍수 등으로 인한 자연재난에 신음하고 있다. 화석 연료 대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 소비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시대 핵심 에너지원으로 수소생산에 주목하고 있다.
울진군의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선정은 바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수소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울진군은 기존 추진하던 연구실험 중심의 수소 실증단지 조성 사업을 수소 전주기연구 생산 저장 운송 활용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로 추진 전략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했다
군은 수소 관련 기업들과 MOU를 맺는 등 적극적인 유치 활동을 진행했다. 그 결과, 올해 3월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돼 울진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했다.
사업비 약 4천억 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일원에 158만㎡ 규모로 조성되는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는 국가산단 조성에 따른 생산유발효과가 7조1천억 원, 고용유발효과가 2만4천여명으로 막대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울진군의 상용원전(한울원전)과 고온가스로(HTGR)를 활용해 수전해 청정수소를 대량 생산하고 수소를 활용하는 관련 기업을 대거 유치한다. 국내 수소 관련 대기업을 비롯해 소재·부품·장비 제조업체와 연구시설과 원전의 열과 전기를 이용해 대량의 청정수소 생산체계를 갖추게 된다.
울진에는 현재 7기의 원자력발전소가 가동 중이고, 3기의 원전이 건설 중에 있어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이 가동되면 시너지 효과와 더불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해안 수소경제 벨트’의 거점 도시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진군은 세계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미래 청정에너지라 불리는 원자력 청정 수소의 대량 생산·실증을 위해 삼성엔지니어링, SK에코플랜트와 원자력 청정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울진군은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이용한 수소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동해·삼척 액화수소 클러스터 △포항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클러스터 등을 연결하는 청정수소 공급의 최적지로 손꼽힌다.
원자력수소의 생산과 저장뿐만 아니라 운송, 활용 기업의 집적화가 이뤄진다면 울진이 동해안 수소경제 벨트(강원~경북~울산)의 거점 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예상된다.
울진군은 앞으로 원자력 수소 국가산업단지 인프라 및 원자력 청정 수소의 생산 실증 인프라 구축은 물론 원자력 청정 수소 사업이 착수되면 지역 일자리 창출 및 동해안 수소경제벨트 활성화 등 지역경제 부흥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또한, 지난 20일 국내 최대규모인 30MW급 청정수소 생산 실증사업 유치계획서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제출했다.
이번 공모사업은 정부 주도로 2025~2030년까지 총사업비 2천600억이 투입되는 30MW급 청정수소 생산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이다.
2025~2026년까지 1천500억원을 투입해 수전해 기술(알칼라인 20MW, PEM 10MW)을 기업 공모를 통해 개발하고, 2026부터 2030년까지 1천100억원을 투입해 청정수소 생산기술을 실증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울진군은 이제 울진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유치로 울진군이 보유한 원자력의 우수성을 활용한 원자력 청정수소 산업의 비전이 제시됐다.
특히 동해안을 따라 철강, 화학, 시멘트 등 대규모 수소 사용 기업·지역이 밀집해 있어 이들과 연계·협력을 강화할 경우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수소 산단이 조성되면 국내 수소 관련 대기업을 비롯해 소부장 제조업체와 연구시설 등의 집적화가 이뤄진다면 탄소 중립 시대 핵심과제인 국가 수소산업을 울진이 중심이 되어 이끌어 나아 갈 것이다.
민선 8기 남은 기간 국가산단 중심의 ‘울진 원자력수소산업’ 육성을 통해 울진을 ‘대한민국 수소경제벨트의 허브’로 구축하는데 전 행정력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