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빗줄기 속에서 생각한다

등록일 2023-07-19 18:16 게재일 2023-07-20 19면
스크랩버튼
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기다렸던 비가 내렸다. 목이 타도록 고대하던 빗줄기가 시원했다. 청청한 초록이 싱싱한 기운을 흠뻑 들이켰다. 신기하게도 장마는 한반도를 오르내리며 나름 고르게 물줄기를 대었다. 더욱 신통한 것은 장마가 지나면 폭염이 찾아올 터이다. 흠씬 적신 대지를 익히며 뜨거운 햇발이 쏟아질 것이다. 정성으로 심은 곡식들이 장마 뒤 폭염 속에 푹푹 익어갈 참이다. 그래서 ‘장마에는 돌도 큰다’고 했을까. 자연은 이렇게, 소리없이 인간을 돕는다. 장마를 지나며 바라던 대로 풍성한 결실을 내려면, 장마 전에 여러 가닥 준비를 해야한다. 장마를 홍수로 까먹지 않으려면 치수에 미리 손을 써야 한다. 기다리던 장마가 왔다고 저절로 모든 것이 좋아지는 것이 아닌 것은, 인간에게 장마를 대비하는 지혜를 깨우치게 하려는 것일까. 하늘이 도울 테니 사람은 준비하라는 소리가, 거의 들린다.

윤흥길의 소설 ‘장마’는 마침 이즈음에 맞았던 한국전쟁의 모습을 여러 갈래로 그리고 있다. 준비없이 맞았던 민족의 비극이어서 그랬을까, 어둡고 지겨운 어려움으로 다가온 전쟁을 마침 함께 찾아왔을 긴긴 장마 빗줄기에 빗대고 있다. 삶의 어려움이 지나가면서 장마가 그친다는 복선에 장마를 바라보는 시선이 보인다. 기다림이 기대만큼 열매를 거두려면, 장마가 오기 전에 가져야 할 태도를 가다듬어야 한다. 혹 준비하지 못했다면 퍼붓는 빗줄기 속에라도 다음엔 어떻게 할 것인지 다짐해야 한다.

전국 각지에서 물난리 소식이 끊이지 않는다. 목마름이 애통함으로 바뀐 뉴스는 안타까울 뿐이다. 애타게 기다리면서 준비하지 못한 결과를 보는 참이다. 더이상 빗줄기가 재난이 되지 않도록 했어야 했는데 나라는 무엇을 했을까. 해마다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면 이제라도 각오와 다짐을 새롭게 해야한다. 모두가 하나가 되어 모두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

물난리에서조차 좌우로 갈라서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념이란 결국 더 나은 내일을 만나기 위한 지향성과 방법론의 차이가 아니었을까. 그 바라보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은 더욱 나라다운 나라를 당기기 위한 또다른 모습의 간절함이 아니었을까. 진영으로 갈라서 생각없이 손가락질만 퍼부을 일이 아니라, 생각이 다른 마음 가닥들을 모아가야 하지 않을까. 더이상 반목과 비난으로 아까운 날들을 허비하지 않아야 한다. 다가온 장마가 뒤이을 폭염 속에 온갖 과실을 맺는 것처럼 다른 생각들 속에 숨은 모든 이들의 열정을 묶어 진정한 나라다움을 일구어야 한다.

기다림이 장마로 이어진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간절함이 기다림을 건너 빗줄기를 만난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사람을 도우려는 자연의 마음에 화답하지 못한 인간의 미련함을 다시 보았다.

이제 다시 하는 다짐 속에는 간절했던 기억을 반드시 함께 심어야 한다. 장마 후 결실을 위해 무더위가 찾아오듯이 희망과 함께 공동체를 건져 올리려면 열정 가득한 담론과 비평과 함께 구체적이며 실증적인 준비가 있어야 한다. 장마를 홍수로 까먹지 말아야 한다.

오그러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