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폭우의 경고

등록일 2023-07-18 18:04 게재일 2023-07-19 18면
스크랩버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폭우 피해가 심각해 안타깝기만 하다. 전국 곳곳이 기습적인 폭우와 산사태, 제방 범람 등으로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초래해 애타는 가슴이다. 물폭탄 같은 집중호우가 사정없이 쏟아지니 온전한 곳인들 어디 있었으랴. 난데없는 수마의 할큄으로 국토가 신음하고 국민의 시름이 깊어지니 이 무슨 날벼락 같은 변고란 말인가. 절망이란 불청객과 같다지만, 전혀 예기치 못한 순식간 자연재난의 불청객치고는 갈수록 과격하고 빈번해지는 추세니 망연자실할 따름이다.

포항이나 경주 등 인근지역에서는 작년 9월초에 들이닥친 태풍(힌남노)의 막대한 피해를 겪어본 터라 간담이 서늘해졌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기상이변은 지역을 막론하고 예고없이 돌변하기도 하고 영향범위나 피해규모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심각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기에, 철저한 준비와 선제적인 대응만이 최선의 방책이 아닐까싶다. 변화무쌍한 자연현상에서 비롯되는 천재(天災)를 막을 수는 없겠지만,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태세와 방재시스템의 체계적인 관리·과학적인 운영에서 비롯되는 실책이나 인재(人災)가 있어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

‘음산한 구름떼/회오리에 휘감겨//비바람 사정없이 마구마구 쏟아지고 휘몰아쳐/땅과 하늘이 할퀴고 소스라치니 골(谷)과 내(川)가 요동치고/…./적시고 파고들어 불어나 넘쳐 둥둥 떠서 여지없이 휩쓸려 떠내려가는/과욕의 부유(浮遊)같고 오욕의 민낯 같은 잡동사니의 난무(亂舞)-//삼킬 듯 날름거리는/황토빛 하류의 혀’ -拙시조 ‘下流’ 전문

하천 범람이나 제방 유실 등의 물난리는 물길이 모이는 하류지역에서 주로 발생되지만, 최근에는 기록적인 폭우로 순식간에 불어난 물이 급류를 타고 흐르다가 약한 제방이 터지면서 중·상류지역에서도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번 충북 오송의 지하차도 참사 역시 폭우로 인근 미호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흙탕물이 빠르게 유입되고 있는데도 긴급통제 미실시, 제방관리 부실 등의 예견된 인재(人災)라는 논란 속에 전담 감찰팀이 조사 중에 있다. 수년 전 부산지하차도 침수사고도 있었지만, 반복되는 유사사례는 과연 안전불감증인지, 수해대처 미흡인지 알 수 없는 일이다.

경북에서 가장 많은 인명·재산피해가 난 예천군의 수해현장은 비참하기만 했다. 도로가 종이처럼 접히고 수백톤의 바윗덩이가 마을까지 덮쳤는가 하면, 산사태로 대대로 살아온 집들의 형체가 없어질 정도로 초토화돼버려 아연실색할 따름이었다. 또한 예천군의 산 속에서 유명 ‘자연인’으로 살아가던 부부나 귀농·귀촌하여 ‘인생 이모작’을 살아가려던 꿈은 산사태에 휩쓸려버려 안타까움을 더했다. 기습적인 폭우가 이어지고 삼킬 듯한 급류와 한밤 중에 들이닥친 산사태에 속수무책으로 참변을 당해 씁쓸하기만 했다.

무참한 수해현장과 참혹한 인명피해까지 몰고온 가증스런 폭우는 과연 기상이변의 경고인가, 기후위기의 암시인가. 어쩌면 기후위기의 다른 이름이 ‘기습 폭우’라면 우리는 자연환경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고마우면서도 무서운 자연과의 동행을 언제까지 위태위태 계속 해야하는 걸까?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