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하늘을 유유히 가르는 백로의 날갯짓이 악보로 흐르는 듯하다. 댓잎에 바람소리와 낙숫물 떨어지는 소리가 자연의 음률처럼 들리고, 새소리 풀벌레 소리가 어울림조 합창 마냥 정겹기만 하다. 도시의 온갖 사람들 소리나 자동차 소리, 공장의 기계음 따위의 소음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아늑함과 천연스러움이 있다. 소리나 음악, 가락 등은 인간의 감각기관인 귀로 듣고 느껴져 마음의 자극이나 반응을 일어나게 하기에, 지역적인 정서와 문화의 양식에 따라 많은 갈래와 흐름으로 생겨나 유지, 발전되어 왔다.
시조창도 그렇게 파생되어 오랜 세월동안 불리워져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시절단가(時節短歌)이다. 시조는 신라향가에 기원을 둔 우리 민족 고유의 정형시다. 즉 평시조를 기준으로 3·4조의 음수율을 가지고 3장6구 12음보의 45자 내외로 이뤄진 독특한 정형시의 양식으로, 함축적이고 절제된 언어의 노래 가사로서 문학인 동시에 음악인 셈이다. 이러한 시조시에 가락과 장단을 붙이고 감정을 더해 부르는 노래가 시조창이다. 악기 없이 장구나 무릎장단의 부분적인 연주 속에 슬프고 애타는 느낌을 주는 3음의 계면조(界面調)와 맑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 5음의 우조(羽調)로 되어 있으며, 연결성이 발달한 청아한 소리의 음계가 특징적이다. 또한 특유의 기백과 독창적인 소리예술로 풍류와 멋을 더해 전라도를 중심으로 즐겨 부르던 완제(完制)시조는 우리나라 고유의 대중음악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의 전통가락이자 민족혼이 담긴 시조창을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노력과 움직임이 있어서 고무적이다. 코로나19의 장막이 걷히면서 전국적인 시조창 경연대회가 5, 6월부터 줄을 잇고 있다. 지난 6월 중하순 경에는 성주군과 포항시에서 ‘전국 시조창 경연대회’가 성황리에 열렸고, 7월 중에는 울산광역시와 안동시 등에서 시조창 경연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맵시 고운 한복을 입고 의관을 정제한 전국의 남녀 창자(唱者)들이 독창적인 창법으로 시조창을 즐기며 열띤 경합을 벌이는 것은, 우리의 소중한 전통문화를 애써 지키고 가꾸는 그 이상의 유익함이 크다 할 것이다.
여리고 강하다가 낮거나 높게 끊어질 듯 꺾이다가 부드럽게 이어지는 시조창의 매력은, 느림의 미학으로 일컫는 전통성악의 특이한 음률의 발성과 음악적 경험으로 시조의 품격과 인성을 드높이며 물아일체의 경험과 심신의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유장한 가락으로 율려(律呂)의 다변성을 절묘하게 발성하고 감정을 표출하는 시조창은, 자연을 닮으려는 정신의 흔적이며 동양전래의 자연관에 근거한 시간성을 형상화한 음악형식이 아닐까 싶다.
우리 선조들의 얼과 지혜가 응축된 멋과 가풍(歌風), 질박한 정서가 담겨있는 정악(正樂)이 결코 나이가 들거나 특정계층에서만 누리는 편견에서 벗어나 생활 속 문화가 되고, 풍류가 한류(韓流)가 되는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저변확대에도 많은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시조와 시조창은 면면히 이어온 우리 정신의 뿌리요 숨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