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처럼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울릉도에서 산불이 발생, 민·관·군 합동으로 신속하게 대처 자칫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었지만, 확진을 막고 신속하게 진화됐다.
5일 오후 4시께 울릉119안전센터에 울릉읍 도동리 행남등대 부근(울릉군청뒤~ 행남옛길) 도동가는 길 방향에서 산불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은 울릉119안전센터가 즉시 출동했지만, 산불은 해안가 산악지대에서 발생, 차량과 장비 진입이 불가능한 상태로 현장까지 휴대용 물통 등 장비를 지고 걸어서 접근해야 할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선발대로 먼저 울릉119안전센터, 울릉군청, 경찰서 등이 해안 산책로와 산길을 통해 2km를 걸어서 현장 출동, 초기 진화에 나섰다.
이어 울릉도 민간 낚싯배 울릉마린호(해양민간구조대)와 동해해경울릉파출소 연안구조정이 출동, 도동항에서 산불이 발생한 현장에 가까운 행남접안장까지 해군, 경찰관, 울릉군청 직원 200여 명을 실어 날 났다.
해안가 접안시설에 도착한 산불 진화대는 휴대용 물통을 지고 장비를 들고 다시 걸어서 산불이 발생한 800m~900m 지점까지 올라가 산불진화에 참여했다.
울릉군은 이와 함께 4시30분께 산림청 헬기지원을 요청했고 오후 5시23분께 주불 진화는 완료됐다. 이후 잔불정리에 들어가 오후 6시30분께 잔불정리도 완료했다.
이날 5시 45분께는 고압 전선 화재로 한전 울릉도지점에서 고압선 전신주 절단을 하기도 했고 오후 6시께 경북소방헬기가 화재 현장에 도착하기도 했다.
이날 산불진화에는 울릉군청 공무원 70여 명, 소방인력 10여 명, 해군 118전대 군인 60명, 경찰관 15명, 울릉경비대 15명, 해경, 민간인 등 200여 명이 참여했다.
이날 화재는 해안에서 700~900m 정도 떨어진 산비탈 지역에 발생 해풍으로 인해 자칫 대형산불로 번질 수도 있었지만 민·관·군 합동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신속하게 진화 대형 산불을 막았다.
울릉군 산림관계자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장소는 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지만, 지목상 밭으로 화재 면적은 임·전야 약 0.27헥타르인 것으로 알려졌고 화재 원인은 고압선에 의한 것으로 보고 조사하고 있다,
남한권 울릉군수는 “울릉도산불화재 진화에는 대형장비를 사용할 수 없고 헬기가 육지에서 건너 오려면 최소한 1시간 30분 이상 소요된다”며“민·관·군 공조가 아니면 진화가 불가능하다 참여해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