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5월을 보내며

등록일 2023-05-30 19:26 게재일 2023-05-31 18면
스크랩버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보리누름의 즈음에 초목은 더욱 푸릇푸릇하다. 눈길 닿는 곳마다 온통 푸르름인데 군데군데 맥랑(麥浪)이 이는 들판엔 누렇거나 갈빛을 띄며 보리가 익어가니 이른바 맥추(麥秋)이다. 푸르른 초목의 캔버스에 누런 보리물결의 채색은 선명하면서도 대조적이다. 강물이 푸르니 새가 더욱 희게 보이고(江碧鳥逾白) 산이 푸르니 꽃빛이 불타듯 더욱 붉게 보이는 것(山靑花欲然)처럼, 이따금씩 배경의 빛깔이나 상태에 따라 어떤 사물과 대상이 두드러지거나 각광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강둑에 줄지어 서서 노란 웃음꽃을 피우는 금계국도 대조적인 인상을 준다. 연녹색과 초록의 줄기에 돋아난 잎들 사이사이로 샛노란 꽃을 아기자기하게 품고 피우며 가볍게 살랑거리는 자태는 앙증스럽기만 하다. 꽃이 피기 전까지는 길섶의 들꽃이나 야생초쯤으로 여겨져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다가, 하나씩 노란 꽃잎을 흔들며 길손을 반기고 온몸으로 환호하니 자연히 눈길이 머물 수밖에 없다. 이처럼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배경이 되거나 어쩌다가(?) 주연으로 부각되는 기회가 있기도 할 것이다.

“더 열심히 파고들고/더 열심히 말을 걸고/더 열심히 귀 기울이고/더 열심히 사랑할 걸….//반벙어리처럼/귀머거리처럼/보내지는 않았는가/우두커니처럼…. /더 열심히 그 순간을/사랑할 것을….//모든 순간이 다아/꽃봉오리인 것을,/내 열심에 따라 피어날/꽃봉오리인 것을!” - 정현종 시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중

어쩌면 우리 모두는 저마다의 모양과 빛깔과 향기로 하루하루 자신만의 꽃봉오리를 피워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수많은 풀과 꽃과 나무가 어우러져 꽃밭을 이루고 숲을 키워가듯이, 각양각색의 다양한 사람들이 저마다 ‘개성의 꽃’을 피우며 사회를 조화롭고 아름답게 가꿔 나가는 것이리라. 꽃을 피운다는 것은 에너지를 응축시켜 절정으로 치닫는 것이다. 노력하고 인내하고 도전하고 진취하면서 자신의 의지와 재능을 한껏 불살라 꿈을 향한 도움닫기를 줄기차게 펼치는 것이다.

불꽃놀이는 꿈의 결정체를 벅차고 강렬하게 터뜨려서 순간적이지만 스러져서 외려 아름다운 불꽃예술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꿈이나 꽃이 피어나는 과정의 형상화를 불꽃으로 승화시켜 ‘찰라 예술’로 연출함으로써 생생한 감동과 흥미를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지난 주 형산강 둔치에서 4년만에 열린 ‘2023년 포항국제불빛축제’에 25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갈 정도로 호응이 컸다. 명실상부한 전국 3대 불꽃축제의 면모를 보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코로나19 태풍으로 힘든 나날을 보낸 포항시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의 불빛을 선사했다.

감사와 사랑으로 5월을 마무리하며, 마침 6월부터는 ‘노 마스크’에 이어 ‘격리’도 해제되어 사실상 40개월만에 엔데믹(감염병의 풍토화) 전환에 진입하니 완전한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세상, 나누고 베풀며 아끼고 챙겨주는 배려의 꽃이 찬란한 기쁨의 폭죽으로 옴팡지게 터지길 기대해본다.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