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봉투 의혹’ 송영길 귀국<br/>“모르는 사안 많아 문제해결 앞장<br/>도망 안 가, 오늘이라도 소환하라”<br/>여당 “위장 탈당 습관화” 총공세<br/>김기현 대표 “자진 수사 의뢰해야”
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에 대한 책임을 지고 탈당 의사를 밝힌 송영길 전 대표가 24일 조기 귀국했다. 그는 이번 의혹에 대해 “도망가지 않는다”며 “오늘이라도 소환해 조사해 달라”고 했다.
송 전 대표는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가 모르는 사안들이 많아 상황을 좀 파악하겠다”며 “모든 책임을 제가 지겠다고 말씀드린 것처럼 저로 인해 발생한 일이라 책임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친명계와 비명계는 서로 다른 입장을 내놨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원내대표 차기 주자 박범계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시점상 늦은 감이 있지만, 정치적 책임을 통감하고 탈당, 즉시 귀국이라는 수순을 밟는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김민석 정책위의장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어떤 책임이 있던 사람으로서 탈당해서 증명하고 본인으로서는 최선을 다해서 돌아오겠다는 태도를 취한 것은 본인이 가져왔던 데에 대한 일관성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의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송 전 대표를 ‘물욕이 적은 사람임을 보증한다’고 게시하며 두둔하기도 했다.
비명계 일각에서는 송 전 대표는 물론 당 지도부의 대처를 성토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상민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모르는 일이라고 할 일은 아니다”라며 “녹음 파일이 드러났고 상당히 구체적인 대목들을 들어보면 송영길 전 대표가 관여했을 것, 또는 직접 돈 봉투를 뿌렸나, 이런 의심이 강하게 드는 것이 상식적이고 합리적”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송 전 대표가 자진 탈당하고 조기 귀국을 선언, 일단 민주당이 한숨 돌린 분위기”라고 묻자, 이 의원은 “한숨 돌릴 상황은 아니다. 돈 봉투 사건의 진실이 하나도 안 밝혀졌다”며 “탈당했기 때문에 한숨을 돌린다는 건 꼬리 자르기다”라고 답했다.
그는 “제가 처음에 이 사건이 터졌을 때 빨리 당에서 윤리감찰원이라는 조직을 통하든 외부 인사들로 구성된 제3의 기구를 구성하든 자체 조사에 들어가야 한다고 했는데 지금까지 그걸 안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저는 이재명 대표가 며칠 전에 기자회견에서 ‘강제수사권이 없다·실효성이 없기 때문에 자체 조사는 안 한다’ (라고 했는데) 매우 이해가 안 되는 대목”이라며 “끝까지 그 진실을 파헤치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여당은 ‘탈당은 꼼수’라며 총공세를 퍼붓고 있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장 탈당이 습관화된 민주당에서 송 전 대표의 임시 탈당은 책임지는 자세가 전혀 아니다”라며 꼬집었다. 그러면서“민주당은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수사를 자진 의뢰해 거론된 의원들에게 진실을 밝힌 뒤 협조하도록 가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김현아 (전) 국민의힘 의원은 어떻게 돼 가고 있는가. 모르는가”라고 반문하며 대여 공세를 펼쳤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송 전 대표와 윤관석·이성만 의원 등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렇게 답했다. 의혹 당사자로 지목된 김 전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모두 명백한 허위 사실”이라며 “기사에서 주장하는 정치 자금은 당원 모임에 참여한 당원들이 자발적으로 걷은 모임의 운영 회비로, 정치자금이 아님을 이미 경찰에 소명했다”라고 강조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