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전략’발표<br/>주요 국립문화시설 5곳 <br/>2027년까지 비수도권 이전<br/>국립예술단체·박물관<br/>지역 순회공연·전시 확대
윤석열 정부가 문화의 힘으로 지역 소멸 위기 대응에 나섰다. 인구가 감소하는 89개 지역 가운데 85개가 비수도권에 위치하는 등 ‘지방 소멸’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문화·여가 활동 기반을 마련해 지방 도시가 활력을 되찾도록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이행을 위한 조처다. <관련기사 14면>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 관계 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전략’을 공식 발표했다.
우선 문화시설의 수도권 편중을 완화한다. 현재 서울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세종 이전을 시작으로, 주요 국립문화시설 5곳을 2027년까지 비수도권에 이전하거나 신규 건립한다.
고품격 문화예술 공연과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국립예술단체와 박물관의 지역 순회공연·전시도 확대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주요 소장품의 순회전도 지속 추진한다.
지역서점, 카페, 공방 등 지역지원 사업과 연계해 ‘15분문화슬세권’도 조성한다. 지난해 3천407곳의 동네 문화공간이 탄생했고, 2027년까지 약 1만 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인구감소지역은 문화관광 분야 4개 공모사업에서 가점 부여 등 우대를 받고, 박물관 및 미술관 운영에 있어 법정 기준을 완화 적용하는 등 정책특례를 받는다.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지역활력타운 조성을 신규 추진한다. 문체부는 선정 지자체에 국민체육센터 건립과 문화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하게 된다.
지역 인재도 양성한다. 2027년까지 지역문화 기획자 총 1천850명 양성을 목표로, 지역대학의 문화 관련학과 졸업자 등 대상 전문교육을 지원해 창의적 인력을 통해 지역의 자립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지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