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과소비인가 투자인가

등록일 2023-02-05 19:54 게재일 2023-02-06 18면
스크랩버튼
유영희 인문글쓰기 강사·작가
유영희 인문글쓰기 강사·작가

며칠 전 친구에게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멕시코 여행 중이던 어느 가족이 겪은 일이라고 한다. 그 가족이 머물던 옆집에서 냉장고가 내려오기에 이사 가는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여행비를 마련하려고 냉장고를 파는 중이었다고 한다. 돌아와서 냉장고 없이 어찌 사느냐고 물으니, 그건 그때 생각하면 된다고 답했단다. 정말 극단적인 사례인 데다 멕시코라는 문화에서나 가능한 일인가 보다 생각하다가도 요즘 우리 사회에서 유행하는 플렉스 문화를 생각하니 그냥 웃어넘기기에는 여운이 남는 이야기였다.

플렉스 문화의 한가운데 있는 세대는 단연코 MZ 세대이다. MZ 세대의 사전적 의미는 1980년부터 2004년까지 출생한 사람이지만, 대체로 20·30대를 지칭하는 말이다.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 SNS에 인증샷이 유행하면서 플렉스 문화도 계속 확장되는 듯하다.

청년들의 성형수술은 이제 당연한 통과의례가 되었고, 이들의 명품 소비도 급증하고 있다. 모건스탠리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의 2022년 명품 구입액은 1인당 약 40만원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았는데, 젊은 층인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가 고가품 소비에 나선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해 한국의 전문가들은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탈출심리가 작용했다거나, 집 구매가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자기 보상 심리라는 등의 분석을 내놓았다. 다른 쪽에서는 청년 빈곤, 청년 부채가 심상치 않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라, 이런 청년의 소비 행태를 과소비라고 보고 비판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달 어느 신문에 MZ들의 과소비는 투자라고 볼 수 있다는 칼럼이 실렸는데 이에 동의하는 청년 당사자의 댓글도 달리고 여기저기 공유되기도 했다. 이 칼럼의 요지는, 네트워크 자본주의 시대에는 가방끈이나 스펙만으로는 부족하고 어떤 사람들과 어떤 비공식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인적 자본의 가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청년들의 과소비는 인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한 투자와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논란은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2년 전 중국에서도 청년의 과소비를 비판하는 기사에 더 나은 경험과 품위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반박하는 의견이 이어졌다.

한국의 경우, 청년 부채의 가장 큰 원인은 주택 구입 때문이라고 하니 부채와 과소비는 큰 관계가 없어 보인다. 한편, 19~34세의 83%가 연봉 4천만원 이하라는 작년의 연구보고서를 참고하면, 어떤 MZ들이 씀씀이가 큰 것은 경제 성장 시기에 성공한 그들 부모 덕일지도 모른다.

겉만 보고 과소비와 투자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같은 크루즈 여행이라도 누구에게는 소비고, 누구에게는 과소비고, 또 누군가에게는 투자이다. 자세한 내용도 모르고 MZ 세대의 소비 방식을 과소비라고 폄하할 것도 아니고, 인적 자본 형성을 위한 투자라며 안쓰러워할 일도 아니다. 이제 MZ에 대한 어설픈 뇌피셜 평가는 그만하고, 실증적인 조사와 연구로 그들과 대화하는 것이 MZ가 만들어갈 미래를 위해 기성세대가 할 일이다.

유영희의 마주침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