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걱정 없는 한 해 되길”<br/>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체험
설날부터 대보름까지가 축제일이라고 여겨도 될 중요한 시기였고 오곡밥, 약밥, 귀밝이술, 묵은 나물과 제철 생선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소원을 빈다. 또한 갖가지 민속놀이를 즐겼는데 마을 제사 지내기, 달맞이 소원 빌기, 더위 팔기, 다리 밟기, 달집태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지난 주말 전국에서 최고라는 청도군 달집태우기 행사를 스케치하러 갔다. 청도군은 코로나19로 4년간 행사를 열지 못한 만큼 올해 달집태우기의 성공을 위해 정성을 기울여 철저한 기획을 했다고 한다.
솔가지 250t과 지주목 130개, 볏짚 200단, 새끼 30타래로 높이 15m<E1BF>폭 10m의 거대한 달집을 만들었으니 그 웅대함이 짐작될 터. 정월대보름 달이 떠오를 때 생솔가지 등을 쌓아 올린 무더기에 불을 질러 안녕과 화합을 비는 세시풍속이 바로 달집태우기다.
청도군 9개 읍면 주민이 짚단으로 줄을 만들어 동군과 서군으로 나눠 진행하는 경북도 무형문화재 제38호 ‘도주 줄다리기’도 펼쳐졌다.
도주 줄다리기는 3만여 단의 볏짚과 새끼 30타래 등으로 1천여 명의 인력이 투입돼 80m의 줄을 제작한다. 줄다리기는 2천여 명의 군민 및 관광객이 참가해 줄을 당기는 모습 자체로 장관을 이룬다. 도주 줄다리기는 격년제로 열리며 볼 만한 전통문화 행사로 인정받고 있다.
달이 떠오르고 거대한 달집에 불이 붙자 행사에 참가한 군민과 관광객들은 저마다 한 해의 소원을 빌며 건강을 기원했다. 한편에선 농산물 직판행사와 소원문 써주기, 민속예술단 공연, 널뛰기, 팽이치기 등 우리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마당이 펼쳐져 모두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
행사장에서 열리는 쥐불놀이를 보니 횃불싸움과 쥐불놀이를 하던 필자의 어릴 때 추억이 떠올랐다. 횃불싸움은 밤에 아이들이 마을 논두렁을 태우는 쥐불놀이에서 시작된다. 쥐불이 한창 무르익으면 이웃 마을과의 경계에서 하게 되는데 이때 서로 경쟁하다가 횃불싸움으로 발전한다. 횃불을 뺏기거나 후퇴하는 편이 지게 된다. 싸늘한 날씨에 손이 얼어도 잘 마른 소똥과 삭정이로 쏘시개와 광솔(불이 잘 붙는 소나무)을 깡통에 넣고 빙글빙글 돌리는 재미를 막지 못했다.
“정월대보름날 쥐불이요~” 달나라까지 닿을 것 같던 친구들의 목소리가 퍼져나갔고 다른 무리는 가가호호 방문하며 밥을 얻으러 나섰다. 대문을 두드리며 “밥 좀 줘요”라고 외치면 어느 집 할 것 없이 맛난 음식을 내어줘 금새 오곡밥, 나물, 찰떡과 과일이 가득 쌓였다. 그걸 나눠 먹으며 느꼈던 행복감을 잊을 수 없다.
이런 풍속들을 돌아보면 우리 조상들은 ‘내가 아닌 우리’가 먼저였던 대동세상(大同世上)을 만들어가려 했던 것 같다. “보름달은 풍요와 다산의 상징이라 하니 심각한 인구 감소는 다산으로 해소되도록 해주시고,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웃음을 잃어가는 국민들의 시름도 모두 거두어 걱정 없는 한 해가 되도록 해주세요”라는 소원을 빌어본다. /민향심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