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雪白의 겨울산행

등록일 2023-01-31 20:04 게재일 2023-02-01 18면
스크랩버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눈 덮인 겨울산을 올랐다. 해마다 연초가 되면 높은 산엘 오르면서 한 해의 계획이나 목표를 되새기고, 신령한 산의 정기(精氣)를 받아 뜻한 바들이 순조롭게 이뤄지기를 염원하며 연례적으로 산행을 하곤 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코로나19에 발목잡히는 바람에 근 3년째 등산다운 등산을 못하다가, 마침 지난 주말에 수년 전부터 수시로 참여해 왔었던 회사 산악회의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행 계획에 동참하여 실로 오랜만에 산행을 하게 된 것이다. 눈이 귀한 지역에서 눈구경(?)을 실컷하며 능선을 타는 눈길산행이라 한결 구미가 당겼다고나 할까?

등산이 시작되는 만항재는 ‘명품 하늘숲길’답게 울창한 수목 밑으로는 온통 눈으로 뒤덮여 있었다. 등산화끈을 바짝 조이고 눈길산행의 필수품인 아이젠을 신발바닥에 채우고는 곧바로 산행에 돌입했다.

당일 고한읍의 기온이 영하 14도인데 해발 1천300m 이상의 고산지대에 매섭게 불어오는 바람으로 체감온도는 -25도 이상으로 느껴지는 듯했다. 혹한에 삭풍을 견디며 산행하기 위해서는 말그대로 ‘눈만 내놓고’ 방한모자와 머프, 스카프, 마스크 등을 두텁게 쓰고 두르거나 칭칭 감고, 방한장갑이나 양말도 2중으로 끼거나 스키용품 등으로 중무장(?)해도 간혹 손끝이나 발끝이 시려 옴은 어쩔 수 없었다.

약간의 한기가 느껴져도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뽀드득’하고 눈 밟는 소리가 맑고 정겹게만 들렸다. 그 소리에 재미삼아 발걸음을 맞추거나 완급을 조절하고, 또한 일행이 함께 지나가면서 일제히 내는 뽀드득거림은 이구동성의 어울림처럼 여겨졌다. 거기에 나목의 나뭇가지를 흔들며 스치거나, 산정으로 향하는 송전선을 훑고 지나가는 바람소리는 가슴 속을 전율케하며 울리는 비장의 산명(山鳴)처럼 들렸다.

설한과 동토의 계절에도 새소리, 물소리, 풀벌레소리를 내밀하게 품으며, 어쩌면 깊은 속울음마냥 허공을 향해 웅웅거리거나 윙윙거리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걷고 들으며 오르다 보니 어느새 정상에 당도했다.

함백산은 과연 다(咸)하도록 희디흰(白) 눈으로 덮여 있었다. 사방으로 트여진 올망졸망 봉우리와 산자락은 희끗희끗 눈과 점점이 나무들의 형체가 채색된 듯 일망무제 장쾌한 수묵화로 펼쳐졌다.

가깝거나 멀리 이어지는 능선으로는 풍력발전기 수십 여기가 보이고, 정상을 에워싼 등성이 몇 군데의 임도는 스키장의 슬로프 마냥 흰 눈길로 구불구불 이어졌다.

산행 시작과 아울러 두문동재로 하산하기까지 발목 이상 쌓인 눈과 줄곧 함께 했으니, 온통 시리도록 부시고 다채로운 순백의 환희에 젖어든 시간이었다.

5시간여 산행 내내 눈길을 걸으며 휘청대다 넘어지기도 했지만, 짐짓 눈밭에 뒹굴고 눈뭉치를 공중에 뿌리거나 맞아 보면서 아련한 동심에 젖기도 하는 등 시종 설국여행을 즐긴 것 같았다. 살을 에는 추위에 칼바람을 맞으며 겨울산행을 애써 하는 이유는 결국 자신을 위한 담금질이 아닐까 싶다.

눈 속에서도 복수초가 피어나듯이, 인동(忍冬)의 내성이 강할수록 맑고 진한 향기를 뿜으리라.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