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이날 논의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추가로 수렴할 예정이며, 필요하면 정책 의원총회를 열어 선거제 개편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다만, 지역구 별 입장차와 이해관계로 인해 의견을 통일하는 것이 예상보다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날 오전 주호영(대구 수성갑) 원내대표는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이하 정개특위) 소속 여당 의원들과 1시간여 동안 비공개로 회의를 했다. 이번 회의는 향후 특위에서 논의될 선거제 개편안과 관련한 특위 위원들의 의견을 듣고자 마련됐으며 정개특위 여당 간사인 이양수 의원과 정개특위 위원인 김상훈(대구 서)·정희용(고령·성주·칠곡)·장동혁·최형두 의원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 원내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각 선거제의 장단점에 관한 의견을 청취했는데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며 “소선거구제와 중대선거구제에 관한 전문가 의견이나 논문 등 의견을 좀 더 듣고 의견을 다시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전반적으로 소선거구제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고, 가장 큰 문제가 거대 양당의 진영 대결을 부추기는 측면이 있다는 점, 그리고 득표에 따라 의석수를 갖지 못해 민의가 왜곡되는 점들이 지적됐다”고 전했다.
그는 또 “일반적으로 중대선거구제가 득표에 따른 의석을 보장하고 양당 정치의 폐단보다 다당제를 지향하기 때문에 가급적 중대선거구제로 옮길 수 있는 방향으로 노력해보자는 의견도 있었다”면서도 “워낙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지역구 사정에 따라 의견이 다르기에 의견을 모으는 것이 대단히 어렵겠구나 하는 느낌도 들었다”고 전했다.
국회 정개특위 여당 간사인 이양수 의원도 이에 대해 “중대선거구제는 각 당 의견이 부딪힌다기보다 당내 입장이 부딪히는 게 많아서 협상에서 결론 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개특위에서도 1월에는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이 될 것 같고 본격적인 논의는 2월 중에 시작될 거라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대구·경북(TK) 지역에서는 ‘제 밥그릇도 못 챙길 상황’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칫 지지기반인 TK를 중심으로 ‘표밭’만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의 한 의원은 “중대선거구제가 되면 공천 인원과 순서가 중요해진다”며 “이를 두고 갈등을 빚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선거법상 중·대선거구제 개편 등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은 선거 1년 전인 오는 4월까지 마무리해야 한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