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 2인 돼야 당 안정성 확보 <br/>계파별 연대 짝짓기 움직임도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뽑는 3·8 전당대회에 관심이 커지면서 당 대표 뿐 아니라 선출직 최고위원 5명의 구도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당 대표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국민의힘의 단일성 지도체제 특성상 그동안 최고위원 선거는 ‘2부 리그’ 격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번에는 역할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개정된 당헌에는 선출 최고위원 5인 중 4인 이상이 사퇴·궐위 시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어 대표를 제외한 선출 최고위원 4인이 뭉치면 지도체제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친윤계 일각에선 최고위원 선거에서도 친윤계 최고위원이 ‘최소 2인’이 돼야 당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 지도체제를 방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당 대표·정책위의장·지명직 최고위원까지 포함해 최고위원회 내 총 5인의 당 대표 우호 지분이 확보돼 의결까지 ‘프리패스’할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이로 인해 벌써부터 전당대회 선거전에는 계파별로 특정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 간 ‘연대 짝짓기’ 움직임도 관측되고 있는 상황이다.
친윤계 초·재선 의원들이 포진한 모임 ‘국민공감’ 소속 의원은 최근 ‘친윤계 최고위원 2인’을 당선시킬 전략을 논의했다고 한다.
친윤 그룹 최고위원 주자로는 김정재·박수영·유상범·이용 의원 등이 거론되며 이중 이용 의원은 출마 의사를 사실상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준석 대표 체제에서 최고위원을 지낸 배현진 의원은 국민공감 내 다수 의원의 재출마 요구가 있었지만, ‘중도 사퇴한 전임 지도부의 일원으로서 당원에게 예의가 아니다’는 취지로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윤(비윤석열)계는 허은아 의원 등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비윤계 한 의원은 “친윤계가 주류이니 전당대회에서 떨어지더라도, 당을 위해 해야 할 말은 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비윤계 의원들도 출마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비윤계 인사는 최근 조강특위의 조직위원장 임명 결과에서 자신이 배제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따라서 계파 갈등 전선이 전당대회 선거전으로까지 옮겨붙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