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말 인구 40만대 진입… 경북 최대 도시 이미지 하락 <br/>이차전지·바이오·수소 등 3대 신산업 육성, 인구유입 가속화 <br/>생활 인프라 확충으로 출산율 제고 등 전방위 정책 발굴 나서
포항시 인구가 지난 6월 말 49만9천854명으로 집계되며 50만명 아래로 떨어진 지 6개월 차를 맞이했다. 오는 2023년 역시 50만으로의 인구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 경북 제1 도시로서 포항의 위상은 점차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포항시는 현실적으로 50만 회복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인구 감소폭을 최소화함으로써 장기적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전방위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21일 포항시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포항시 인구는 49만7천197명으로 지난 6월에 50만명 밑으로 떨어진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인구 감소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크지 않다.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40조(대도시에 대한 사무특례)에서 “인구 30만 이상인 지방자치단체로서 면적이 1천제곱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이를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어서다. 즉 면적이 1천128.76㎢인 포항시는 당장 인구가 30만명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대도시 특례 지위는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다만, 이미지 하락 문제는 심각하다. 경북에서 가장 큰 도시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포항시는 50만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는 큰 장점을 내세워 각종 기업 유치 등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50만명이 붕괴되며 가져온 이미지 하락은 향후 기업유치나 각종 국책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
인구감소 문제를 두고 일각에서는 포항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만큼 다른 시각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국가적으로 지난 2020년부터 인구가 자연감소하기 시작했고, 지난해 합계출산율 역시 0.8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한 점을 볼 때 감소 자체는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자체별로 시행하고 있는 인구유인정책 자체가 땅따먹기 식의 제로섬 게임이라는 주장 역시 이러한 의견과 궤를 같이한다. 주민등록을 넘어 ‘생활인구’ 개념을 정부가 도입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장 2023년부터 ‘생활인구’라는 개념이 도입되는데, 생활인구란 주민등록인구 및 외국인등록인구 외에 지역에 체류하는 인구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포항시는 이를 감안, 포항만의 강점을 더욱 살려 인구 유입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감소세를 완만하게 하는 부분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시는 2023 인구정책 추진방안을 ‘패러다임 전환’에 초점을 맞췄다.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와 저출생·고령화 심화에 따라 급변하는 인구구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모든 세대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한 중장기적인 인구정책을 발굴해 추진한다는 것이다. 즉 이차전지·바이오·수소 등 3대 신산업 육성 및 산업구조 다변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일자리 확충으로 인구유입을 가속화하는 한편,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과 선진화된 교육·문화·예술·의료 생활 인프라 조성 등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는 방안에도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포항시 배성호 정책기획관은 “인구 감소 자체는 국가적인 문제라 지자체별로 경쟁하듯 인구를 뺏고 빼앗기는 부분은 이제는 실효성이 없다”면서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높여 포항시 전체적인 소비를 진작시키고, 각종 복지 여건을 향상시켜 아이 낳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등 장기적인 부분을 바라보고 인구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