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부쩍 차가워졌다. 집 밖의 나무는 앙상한 가지를 뻗고 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옷차림도 두껍다. 어느새 성큼 다가온 겨울에 나도 모르게 몸을 움츠린다. 서늘한 공기에 입술도 손끝도 바싹바싹 마르는 것이 느껴진다. 이맘때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까지도 건조해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감정의 폭이 유난히 큰 사람이 있다. 사소한 일에 크게 웃고 우는 이들과는 반대로 냉철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도 있다. 흔히 감정적, 이성적으로 나누는 이러한 특질은 사람의 본질을 결정짓는 부분은 아니다. 그러나 각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는 다를 것이며 옳고 그름을 떠나 삶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상반된 관점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나는 스스로가 굉장히 감정적인 편이라 생각했지만 최근엔 어떤 부분이 완전히 메말라버렸다고 느낀다. 그건 겨울이라는 계절이 주는 특이성과는 또 다른 것이다. 출퇴근하고 여러 사람과 부대끼면 용납할 수 없는 일이 자꾸만 생겨난다. 단조롭고 고요한 시간을 살았을 때는 알지 못했던 것들이 보이기도 한다. 소설이라고 생각하면 얼마든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인물과 사건이 현실을 사는 내 앞에 나타난 순간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고민으로 나타난다.
그러니 자유와 사랑, 낭만을 거침없이 이야기하는 날이 점점 줄어든다. 이상을 꿈꾸고 손에 잡히지 않는 것을 믿는 일이 바보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좋게 보자면 현실적으로 되었다고 할까? 낙관적인 내일을 상상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늦지 않게 일어나야 한다는 것.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보다 먼저 떠오르는 건 처리해야 하는 업무의 양. 문득 눈이 떠진 이른 새벽 소복이 쌓인 첫눈을 마주하고서는 탄성보다 탄식을 뱉어냈다. 내면 깊은 곳에서 언제나 퐁퐁 솟아오르던 감정이 말라서 어떤 면에서는 마음이 완전히 늙어버린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시장의 논리가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감수성이야말로 우리가 획득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감수성이 높다는 것은 타고난 것이기도 하지만 노력으로도 이뤄질 수 있는 일이다. 동시에 경계하고 훈련하지 않으면 금방 휘발되는 것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모두 다른 면면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에게도 여러 면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모두가 같지 않음을 인정하고 모든 일을 선과 악의 이분법으로 나눌 수 없다고 여기는 순간부터 타인과 세계를 이해하는 감수성은 시작된다. 삶은 수학 공식처럼 정확한 숫자를 대입하면 맞아떨어지는 답이 나오는 게 아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불투명한 답을 획득하기 위해 나아갈 수밖에 없다.
여전히 나는 누군가의 문장을 읽고 눈물을 흘린다. 좋은 노래를 들으면 숨이 쉬어지는 것 같다. 이해할 수 없는 타인을 찬찬히 헤아리면 어김없이 슬퍼지고 만다. 그것은 내 안에 아직 살아있는 감정의 불씨며 그것을 지키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증거다. 현실을 살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건조함도 필요하지만 동시에 폭포처럼 쏟아지는 감정 또한 세계를 돌파할 수 있는 커다란 힘이 된다.
월드컵으로 모두의 마음이 들썩일 때 한 연예인이 대한민국의 16강 진출과 관련하여 ‘어차피 안 될 것을 알면서도 왜 희망을 품느냐’는 식의 이야기를 꺼내어 빈축을 샀다. 누군가는 그것을 이성적인 판단이라고 여길지도 모른다. 그러나 승리와 패배를 계산하며 가능성이 적은 쪽을 믿는 이들을 조롱하는 것은 패배주의에 빠지기 쉬운 일이다. 그럴 때 우리는 허무적이고 냉소적인 사람으로 전락한다. 감정을 누르고 오직 머리로만 삶을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는 순간 모든 일에 실패할 수밖에 없다. 희망을 믿는 것은 바보 같은 일이 아니다. 낙관적인 가능성만을 열어놓는 것도 아니다. 부정적인 영역까지도 기꺼이 받아들일 준비를 하는 것이다.
알다시피 그가 불신했던 미래는 현실이 됐다. 포르투갈과의 경기 끝에 대한민국의 16강 진출이 확정됐을 때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손에 땀을 쥐고 몇 번이나 고개를 끄덕였는지 모른다. 꺾이지 않는 마음. 분투의 마음. 다음을 꿈꾸고 해낼 수 있다고 믿는 일. 행여 그 믿음이 실패로 돌아올지라도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무조건적인 승리를 바라는 게 아니다. 우리 모두가 뭔가를 함께 바라고 간절히 호흡하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손을 잡을 수 있는 곁의 누군가가 있어서 다행이란 생각이 들면 건조하게 느껴졌던 마음이 촉촉하게 젖어온다. 어떤 일이 찾아와도 절대 메마른 사람이 되지 않겠다는 다짐과 함께 이 겨울을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