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은 참 힘 빠지는 한 해였다. 국정 지지도를 회복하지 못하는 집권 여당은 물론, 희망을 보여주지 않는 거대 야당의 행태에 국민의 한숨은 날로 커지고 있다.
집값은 좀 내려간 듯하지만 거래 절벽으로 큰 효과는 없는 상태다. 고물가 때문에 실질 소득은 2.8% 줄고, 하위 20% 가구는 명목 소득마저 줄어들어 빈부 격차는 더 커졌다.
이렇게 우울한 한 해를 보내던 우리 국민에게 12월 3일 새벽 울려 퍼진 대표팀의 월드컵 16강 진출 소식은 우리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다. 우리 팀이 16강에 진출할 확률은 9%였고, 32강 진출도 어마어마한 성과였다고 하니,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한국이 포르투갈에게 먼저 1점을 내주었을 때 선수들이 얼마나 절망했을까? 우리가 1점을 얻어 추가 경기를 하게 되었을 때의 선수들의 긴장감 역시 어마어마했을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상대 선수 7명에게 둘러싸인 손흥민이 가랑이 사이로 환상적인 패스를 하고, 열심히 공을 따라온 황희찬이 귀신같이 이 공을 잡아채어 골을 넣었으니, 소설을 쓴대도 이런 역전극은 쓸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승리의 기쁨도 잠시, 우루과이와 가나의 경기 결과가 나오기까지 5분은 선수들에게 숨 막히는 시간이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이 역전 드라마가 더 감동적인 이유는 손흥민과 황희찬의 부상 투혼 때문이다. 손흥민은 바로 한 달 전 챔피언스리그 경기 중 부상으로 안와골절 수술을 받아 마스크를 끼고 뛰고 있었고, 역전 골을 넣은 황희찬 역시 허벅지 부상으로 1, 2차 전에는 출전도 하지 못하고 3차 전에서도 후반전에서야 뛸 정도로 컨디션이 안 좋은 상태였다.
이런 부상에도 이들을 열심히 뛰게 한 원동력은 1억6천만 원의 포상금이 아니다. 손흥민은 인터뷰에서, 9%라는, 그 작은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너무나 많이 노력했고, 부담 속에서 성장해왔다고 하면서, 골 넣은 것도 기쁘지만 무엇보다 16강 진출이 기쁘다고 한다. 16강 진출이 온 국민의 열망이라는 것을 선수들은 너무나 잘 아는 것이다. 개인의 명예나 부는 그 책임을 다했을 때 뒤따라오는 포상일 뿐이다.
그런데 정작 안전과 생활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정치인이 얼마나 있는지 의심스럽다. 국민을 위해 봉사할 것을 약속하여 선출되었건만, 당선된 후에는 공복으로서의 책임은 뒷전이고 자신의 명예나 이익을 챙기는 데 급급하다. 10·29 참사만 봐도 일선에서 책임져야 하는 용산구청장은 거짓말까지 하며 발뺌하기 바쁘고, 수해로 일가족이 참사한 지역에 간 정치인은 비가 와야 사진이 잘 나온다는 망언까지 서슴없이 한다.
요즘 내가 사는 지역의 기초 의회 정례회를 참관하는 중이다. 의원들이 자료를 꼼꼼히 살펴보지 않고 오거나, 공무원의 답을 듣지도 않고 윽박지르거나, 심지어 결석하는 등 기대에 못 미치는 의원들이 여럿 보였다. 중앙정치인들처럼 이들에게도 대표라는 무게는 가볍기 그지없었다. 혹시 우리가 스포츠에 거는 기대만큼 정치에 관심 갖지 않아서 이들에게 대표라는 무게가 이토록 가벼운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