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파업후 첫 실무진 공식대화<br/>결렬시 업무개시명령 발동할 듯 <br/>원 장관, 포항 총파업 현장 찾아<br/>화물차주 처우 개선 노력 등 강조 <br/>관련 업계와는 우려상황 논의도
화물연대 파업이 27일 나흘째에 접어들며 전국 곳곳에서 물류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태풍 힌남노 침수 피해를 입은 포항철강공단은 피해복구작업도 버거운 판에 물류 수송난까지 더해지며 최악의 위기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제품 운송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상당수 중소기업들이 폐업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화물연대 정부 협상 파트인 국토교통부는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실무진 면담을 가질 예정으로 있어 파업철회를 통한 물류정상화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6일 포스코와 현대제철 포항공장 등 포항 주요 철강기업과 (주)동방 등 운송사를 찾아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따른 업계의 고충을 듣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화물연대 파업 이후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지난 24일부터 1일 출하 물량 8천t을 내보내지 못해 쌓아두고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지난여름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침수된 공장 피해 복구를 위한 자재 반입을 화물연대에 요청하는 등 정상적인 공장 가동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 자리에서 업계 관계자들은 “이미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된 상태인데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또 “최근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삼중고에 인력난과 원자재가격 인상까지 겹쳐 중소기업의 피해가 극심한데 이번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회사문을 닫는 업체가 생겨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원 장관은 ”안전운임제 관련 화물연대의 요구 사항은 국회에서 합의를 통해 해결할 것들이다”면서 “포항지역 기업은 태풍 피해로 고충을 겪고 있는데 철강 생산·공급업체와 소비자, 현장 근로자 모두가 피해를 보는 상황을 하루빨리 끝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국회에서 입법으로 도울 수 있는 부분은 정확히 반영하겠지만 산업 물류를 볼모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겠다는 화물연대의 투쟁에는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원 장관은 현장에서 화물차주들과도 만나 “화주 처벌조항 삭제가 반영된 법안은 이미 국회에서 철회됐고 앞으로도 추진되지 않을 것이다”며 “화물차주들의 어려운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 마련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화물연대와 국토부는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실무진 면담을 한다. 공식 대화를 나누는 건 지난 15일 이후 처음이다. 하지만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는 안 된다는 정부 입장과 이를 요구하는 화물연대 입장이 확고해 교섭에 난항이 예상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화물연대의 합리적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대화할 준비가 돼 있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우리의 요구사항을 변경하는 것은 없다”며 “이야기를 들어보고 반박할 것은 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토부가 교섭 전에 국토부 차관과 화물연대 위원장의 티타임을 제안했지만 거절했다”며 “굴욕적인 만남에는 응하지 않을 것이지만 예정된 교섭에는 참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첫 교섭에 성과가 없다면 정부는 파업 중단을 위한 압박 강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집단운송거부에 참여한 화물차주를 대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기 위한 실무 준비를 마쳤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