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 10곳 감액 심사 착수 못해<br/>특수활동비 등 예산안 대거 보류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법정시한인 오는 12월 2일까지 2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여야 간 치열한 공방으로 갈길이 점점 멀어지고 있다.
국회 예산특별위원회는 22일 오전부터 예산안조정소위원회를 열고 환경노동·산업통상자원·행정안전 등 3개 상임위원회 소관 예산안에 대한 감액 심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내년도 행정안전부 경찰국 예산 등을 둘러싼 여야간 첨예한 견해 차이로 인해 공방만 오고가는 형국으로 전개됐다.
당초 예결위 예산소위는 이날 감액 심사를 끝으로 23일부터 증액 심사에 착수할 계획을 잡았지만, 감액 심사 과정에서 보류된 안건들에 대한 재심사로 일정이 순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한내 처리는 물건너간 셈이 됐다.
특히 현재까지 예산소위가 감액 심사를 착수하지 않은 상임위는 10곳에 달하고 이중 6곳은 상임위원회 자체적인 예비심사도 못한 상황에 처해 있어 자칫잘못하면 해를 넘길 수도 있다는 반응마저 나오는 상태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 예산안에 대해 대대적인 삭감을 예고한 바 있다.
심지어 용산 대통령실 이전 관련 예산을 심사하는 운영위 예결소위는 경호처 시행령 등을 놓고 여야간 공방으로 파행을 빚으면서 특수활동비나 대통령실 이전 예산 등 쟁점 예산안이 대거 보류됐다.
국토위 예결소위는 민주당이 용산공원 조성사업 예산 303억원을 전액 삭감하는 안을 의결하자 국민의힘이 반발하며 파행의 길을 걸었다.
국토위 예결소위는 지난 16일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퇴장한 상황에서 다가구주택 매입 임대 사업 예산에 2조5천723억원, 전세임대 사업 융자에 1조208억원 등 공공임대주택 관련 사업 예산이 대폭 증액돼 민주당 단독으로 의결됐다.
또 정무위는 예결소위 회의 일정도 잡지 못했고 기재위 등에서도 공공일자리 사업 예산 등을 놓고 여야간 이견이 커서 공방을 벌일 가능성도 여전하다.
법인세 인하를 골자로 한 세법개정안 등 예산부수법안도 앞으로 예산안 심사에 쟁점으로 부상될 여지는 남겨 놓고 있다.
이는 여야가 기재위 조세소위 구성과 심사 일정 등에 합의했지만, 여전히 법인세 인하·종합부동산세 완화·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유예 등을 놓고 여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가 예산안 조정부터 부수법안까지 상임위 곳곳에서 갈등을 빚으면서 법정시한인 오는 12월 2일까지 예산안 처리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갈수록 고개를 들고 있다.
야당이 오는 24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계획서를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어 수사발표를 우선하는 국민의힘과의 힘 겨루기 공방이 더욱 격화되면서 예산안 처리가 점점더 미궁으로 빠져들 공산이 높아지고 있다. /김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