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늘을 위한 달리기

등록일 2022-11-15 18:29 게재일 2022-11-16 17면
스크랩버튼
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 호흡에 맞춰 뛰는 것이다. /언스플래쉬
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 호흡에 맞춰 뛰는 것이다. /언스플래쉬

마음처럼 되지 않는 날이다. 그럴 때엔 몸을 움직여야 한다. 평소 명상이나 요가를 즐겨 했지만 요즘은 달리는 재미에 푹 빠졌다.

생각 없이 뛰다 보면 어느덧 숨은 목 끝까지 차고 다리엔 힘이 풀려 후들거린다. 현재 남은 거리를 막연히 계산하다보면, 과연 내가 무사히 완주할 수 있을지에 대한 두려움과 포기하고 싶은 욕망이 든다. 달리기뿐만 아니라 근래 내가 도전했던 모든 것들이 그랬다. 이게 정말 맞는 건지, 올바른 것인지 계산하느라 나아가는 걸 금방 멈추곤 했다. 하지만 러닝은 그런 불필요한 걱정을 덜어주고, 포기하고 싶을 때 한 발 더 내딛으며 고통을 극복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게 해주었다.

나는 아직 러닝 초보라 주로 회복 러닝을 택해서 한다. 회복 러닝은 몸이 러닝에 익숙해질 때까지 편안하고 즐겁게 달리며 몸을 깨운다. 회복 러닝에서 가장 중요히 여기는 건 몸이 달리기에서 익숙해질 때까지 나를 기다리는 일이다.

나를 기다리는 여정은 힘들지만 자유롭다. 달리는 동안에는 타인과 나의 러닝 속도를 절대 비교하지 않는다. 오로지 달리기 이전의 나의 모습과 완주한 나의 모습을 비교할 뿐이다. 인내와 통찰의 시간을 견디며 달리다 보면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충동에서 멀리 벗어나게 된다. 또한 완주하는 순간까지의 노력은 오롯이 나의 몫이기 때문에 그 시간의 주인공은 내가 된다.

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건 빠른 속도도 바른 자세도 아닌, 나의 호흡에 맞추어 뛰는 것이다. 너무 힘들다면 스스로 달리는 속도를 조절하고, 앞뒤로 움직이는 팔의 움직임을 강화하거나 물을 마시며 호흡을 가다듬는다. 또는 현재 나를 압박하는 압박감이나 불안을 멈추고선 달리는 자세에 집중하는 방법도 있다.

러닝은 전력질주가 아니다. 무작정 멀리 빠르게 달리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같은 속도로 꾸준히 나아가 완주하는 것이 중요하다. 달리다 보면 몸의 일정한 리듬이 생기게 되고, 지금 달리는 속도 보다 더 빨리 달릴 수 있겠단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욕심이므로 버려야 한다. 절제와 자신감, 두 가지를 기억하며 적절한 러닝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더 빨리 달리는 것이 아닌, 더 빨리 달릴 수 있단 자신감을 가지고 흐름을 유지한다면 목표 달성은 물론, 기록에 남을 만한 멋진 달리기가 된다.

러닝은 출발 전 신발끈을 확실하게 묶는 것에서 시작한다. 스트레칭으로 몸의 긴장을 풀고, 복장 단장을 마쳤다면 그 다음은 런-워크로 시작하여 달리는 몸에 익숙해지기 위해 워밍업을 한다. 심박수가 빨라지고 호흡이 가빠지며 등에선 땀이 맺히기 시작한다. 사실 이 순간이 가장 힘들지만 이는 좋은 신호다. 달릴 수 있는 몸으로 준비가 되었단 뜻이기 때문이다.

달릴 때에는 아무 걱정도 하지 않는다. 그저 달리는 순간이 즐겁고, 더 달릴 수 있다는 확신만을 가진다.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달리다 보면 결국 현재에 집중하게 된다. 앞으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동시에 너무 멀리 있는 길을 내다보고 가늠하며 걱정 하지도 않는다. 과거에서부터 이어진 후회, 미래로부터 끌어온 불안은 저 멀리 내어두고, 마음을 현재에 놓아 불편함과 불안을 사라지게끔 한다.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중간 휴식은 필수다. 회복은 다음 달리기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간이다. 자연스럽게 러닝호흡에서 회복호흡으로 바꾸어 호흡을 가다듬으며 심박수를 낮춘다.

달리기와 쉼을 반복할 때엔 신기하게도 조금씩 달리기 실력이 향상되는 걸 몸으로도 기록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작은 노력이 모여 전보다 더 큰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단 믿음과 자신감은 오늘을 더욱 즐겁게 살게 한다.

영화 ‘블리드 포 디스’에선 복서인 비니 파지엔자가 등장한다. 최고 인기 복서이던 그는 불의의 사고로 의사로부터 다신 걷지 못할 거라는 판정을 받지만, 수많은 재활과 노력 끝에 다시 링 위로 서는 것은 물론 WBA 슈퍼웰터급 챔피언을 차지한다. 그는 우승 인터뷰에서 “불가능해 보이지만 실제로 해보면 어느 순간 끝나고, 얼마나 간단한지 알게 돼요”라 말한 바 있다. 처음부터 불가능은 없으며, 실은 모든 것이 아주 간단하다고 말하는 그의 인터뷰 영상은 현재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며, 오랜 기간 회자되고 있다. 모든 건 사실 간단하고 불가능은 없다라는 말을 되새기며 오늘도 가볍게 달려 본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