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정시 점수 용어 꼭 알고 넘어가자”

이시라 기자
등록일 2022-10-19 20:03 게재일 2022-10-20 12면
스크랩버튼
입시 관련 기본 내용 모를 땐 <br/>지원 전략 수립 어려움 발생<br/>해당 용어와 개념의 이해가<br/>대입 정시 성공의 기본 요소

대입 정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좋은 수능 성적을 받아야 한다. 다음으로 지원 전략을 잘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수능 점수를 가지고도 대학에 따라, 학과에 따라 내 점수가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정시이기 때문이다.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고 그 용어들이 생소한 만큼, 지원 전략 수립에 앞서 알아야 할 정시 용어들을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살펴보자.

 

점수 관련 용어

□ 원점수

수능 시험 문항에 부여된 배점에 따라 자신이 취득한 점수로 국어, 수학, 영어는 100점, 한국사,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50점이 만점이다. 현재 수능 성적표에는 원점수가 표기되지 않기 때문에 대입에서 활용되지는 않는다. 다만, 성적표가 배부되기 전 가채점 때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활용된다.

 

□ 표준점수

수능은 수험생이 시험을 치를 영역 및 과목을 선택하여 치르는데, 대입에서 원점수를 활용할 경우 영역별, 과목별 난이도 차이에 따라 유불리가 발생할 수 있다. 표준점수는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점수로서, 과목별 난이도 차이를 감안해 상대적인 성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계산한 점수다.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는 경우 표준점수는 높게 산출되며, 반대의 경우 낮아진다. 2022학년도 국어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147점이지만, 2021학년도의 경우 144점이었다.

 

□ 백분위

자신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수험생이 얼마나 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이다. 만약 자신의 표준점수가 110점이고 백분위가 80이라면, 자신의 점수인 110점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들이 전체 응시자의 80%라는 의미이며, 이것은 자신이 상위 20%에 있다는 것을 뜻한다. 국어, 수학 영역의 경우 같은 백분위라고 하더라도 표준점수는 다른 경우도 있으며, 그렇기에 변별력은 표준점수에 비해 다소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탐구 영역의 경우에는 동점자가 많기 때문에 표준점수 차이보다 비해 백분위 차이가 벌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 등급

백분위를 토대로 하여 1∼9등급까지 구분한다. 상위 4% 이내는 1등급, 4∼11%는 2등급, 11∼23%는 3등급 등으로 정해진 비율에 따라 등급이 나누어지며, 동점자 수에 따라 이 비율에서 다소 벗어나기도 한다. 절대평가인 영어와 한국사는 원점수에 따라 등급이 부여되는데 영어의 경우 90점 이상은 1등급, 80∼89점은 2등급, 70∼79점은 3등급이 부여되며, 한국사는 50점 만점에 40점 이상 1등급, 35∼39점 2등급, 30∼34점 3등급이 부여된다.

 

□ 변환표준점수

작년 수능 정치와 법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63, 백분위는 97이었으나, 사회문화 만점자의 경우 표준점수 68, 백분위 100이었다. 동일하게 만점을 받았음에도 과목에 따라 표준점수와 백분위의 차이가 컸다. 이런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일부 대학에서 탐구영역에 대해 백분위를 바탕으로 한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전년도 연세대 변환표준점수를 보면 정치와 법과 사회문화 만점자의 점수는 각 65.33점과 66점으로 변환되어, 표준점수나 백분위에 비해 점수 차가 작아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가 크게 줄었다.

다만 이렇게 변환표준점수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사회탐구 또는 과학탐구 선택에 따른 점수 차이는 여전하기 때문에 교차지원이 가능한 모집단위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2022학년도의 경우 성균관대는 자연계열(미적분/기하, 과학탐구 선택자)의 인문계열 모집단위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사탐 응시자의 변환표준점수를 다소 높게 조정하여 반영하였지만, 그 외 대부분 대학은 이런 조치가 없어 상대적으로 자연계열 학생들의 교차지원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는 입시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 대학 환산점수

대학은 수능 성적표에 나와 있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활용하여 학생을 선발하는데, 대학이 수능 각 영역에 설정하는 가중치가 다르기 때문에 대학 간 점수에 차이가 발생한다. 영역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각 대학에서 최종적으로 산출하는 점수를 대학 환산점수라고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이 어느 대학에 지원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입시와 관련된 기본 내용을 잘 모를 경우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해당 용어와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대입 정시 성공의 기본 요소임을 기억하자”고 말했다.

/도움말-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정리=이시라기자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