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임병헌 의원 자료 분석<br/>경무관 승진 112명중 55명 차지<br/>총경 승진도 서울·광주·경남 순
문재인 정부 5년간 경찰 총경급 이상 고위직을 호남과 부산·경남이 독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민의힘 임병헌(대구 중·남구)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지난 2017년 5월∼2022년 4월말까지 5년간 총경급이상 승진자의 지역별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 정부 동안 호남과 부산·경남 출신의 독식이 두드러진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타지역 출신들은 상대적으로 고위직 진출이 매우 제한되는 등 지역차별이 심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최고위직인 치안총감의 경우 전체 2명을 부산과 전남 출신이 각각 차지했고 치안정감의 경우 전체 29명 중 부산 출신이 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 출신이 4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경북, 경기, 인천, 울산의 경우 치안정감 승진자는 단 한명도 없었다.
치안감 승진자의 경우도 부산과 충북이 7명으로 가장 많고 광주가 5명으로 뒤를 이었으며 경기와 인천 출신은 치안감 승진자는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무관 승진자 역시 부산 출신이 14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광주가 13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 기간 경무관 승진자 총 112명 중 부산, 광주, 경남, 전남, 전북, 울산 출신이 55명으로 절반을 차지한 상황이다.
총경 승진자도 서울(53명)을 제외하고는 광주 출신이 49명으로 가장 많고, 경남 출신이 47명, 부산과 전북 출신이 각각 40명으로 뒤를 잇는 등 타 지역 출신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문 정부 기간 인천 출신은 총경 9명, 경무관 1명 외에 승진자가 전무했고 경기 출신도 경무관 2명, 총경 18명 외에 다른 승진자가 전혀 없어 호남과 부산·경남만 독식한 심각한 지역차별 인사가 확인된 셈이다.
임병헌 의원은 “입만 열면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운 나라를 내세우던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이렇게 노골적인 지역편중 경찰인사가 이뤄졌다는 것이 참으로 놀랍다”며 “지난 정부에서 발생한 각종 의혹사건들이 제대로 수사되지 않고 미적거렸는지, 민주당이 ‘검수완박’에 왜 그토록 집착해왔는지 그 이유를 짐작하고도 남겠다”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