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가처분·윤리위 징계 결론 예정<br/>법원 판단 따라 당 결정 달라질 듯<br/>어떤 상황 돼도 혼란 초래 불가피
국민의힘과 이준석 전 대표간 3개월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당 내홍이 수습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주 이 전 대표의 가처분 신청 결과와 당 윤리위원회의 추가징계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서울남부지법 민사51부(수석부장판사 황장수)는 4일 이후 이 전 대표가 신청한 3·4·5차(3차 전국위원회 의결 효력 정지, 4차 정진석 비대위원장 직무 집행 정지, 5차 비대위원 6인 직무집행 정지) 가처분 신청의 결과가 모두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또 오는 6일에는 윤리위가 예고한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징계 여부가 나올 것으로 예측되면서 일촉측발의 팽팽한 긴장감이 도는 한주가 될 전망이다.
이미 추가징계 심의 결정이 내려진 지난 8차 윤리위 때부터 이 전 대표 ‘축출’ 수순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지만, 가처분 결과에 따라 그 수위가 조정될 거란 관측도 있다.
오는 6일 이전 ‘인용’ 결과가 나올 경우, 당은 ‘당원권 정지 3년’이나 ‘탈당 권고’는 물론이고 최고 수위인 ‘제명’ 단계까지 징계를 내릴 것이라는 당 안팎의 전망이 지배적이다. 또 만일 ‘기각’시엔 윤리위가 ‘찍어내기’ 비판에 대한 부담을 덜고 제명 결정을 내릴 거란 예측도 있다. 하지만, 인용될 경우 2번째인 ‘정진석’ 비대위마저 붕괴돼 당은 더 큰 혼돈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당은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밝혔듯 ‘3번째 비대위’를 시도하기보단, 최고위원회 복귀와 주호영 원내대표 ‘원톱’ 체제로 정기국회를 소화한 뒤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당 안정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개정한 당헌·당규 충돌 문제, 최고위 구성 문제, 이 전 대표의 전대 관련 추가 가처분 등이 남아있어 혼란이 불가피하다.
반대로 기각 결정이 나오면 당은 정진석·주호영 ‘투톱’ 체제로 수습 국면에 들어서지만, 이 또한 순탄치만은 않다. 수습 과정에서 이 전 대표를 몰아내기 위한 윤리위 추가징계가 불가피한데, 이 전 대표 측은 윤리위 결정에 대한 추가 가처분을 예고하고 있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이 전 대표 측 변호인단은 “이미 전자소송 준비를 마친 상태이고 추가징계 처분 즉시 가처분을 낼 계획”이라고 밝힌 상태다. 이어 항소와 장외 여론전 등을 통해 계속해서 당 흔들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현재 당 대표 적임자로 거론되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당대회에서 맞서거나, 함께 신당 창당을 시도하는 등의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연휴동안 경북 칠곡에 머물며 막바지 집필 중인 것으로 알려진 이 전 대표는 오는 6일 윤리위 출석 여부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