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전준혁 기자
등록일 2022-09-25 20:11 게재일 2022-09-26 1면
스크랩버튼
경북도·포항시, 산업부에 신청서<br/>  철강산단 기반시설 복구·신설 등<br/>  27개 사업에 1조4천억 지원 요청<br/>“지역 철강업계 조기 정상화돼야  <br/>  국가연관산업 피해 줄일 수 있어”
25일 오전 포항시 남구 형산 오거리 인근에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를 본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빠른 복구를 응원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경북도와 포항시는 태풍 ‘힌남노’로 인해 최대 위기를 맞은 포항 철강산업의 회생을 위해 정부의 지원을 호소하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서를 지난 2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고 25일 밝혔다. 또한 태풍 피해 복구·지원 등과 관련된 자체 계획안과 함께 지정신청서를 제출했다.

시는 신청서를 통해 4개 분야에 철강산업 위기 극복, 철강산단 기반시설 복구 및 신설, 그린산단 조성, 철강 Re bound(리바운드) 펀드 조성, 디지털-그린 복합문화센터 건립 등 27개 사업에 1조4천억 원의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경북도 이영석 일자리경제실장을 총괄로 포항시, 대구경북연구원, 포항 TP, POMIA(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등 5개 기관이 참여하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대응 T/F를 구성,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정 신청은 물론 향후 민관 전문가가 참가하는 현장 실사와 지정 심의위원회 심사에 함께 대비하기로 했다.

신청서에 따르면 포항 철강산업은 중국, 인도 등 후발국들의 거센 도전과 글로벌 경기침체로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과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폭우로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비롯해 포항철강산업단지가 직격탄을 맞았다. 이번 태풍으로 포항철강공단의 100여 개가 넘는 기업체는 침수와 건물 파손, 토사 유출 등 잠정피해액만 1조8천억 원에 이르고 있어 이에 대한 복구에 상당한 시일과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 뿐만이 아니라 이들 업체가 제품 납품 등으로 연관된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대기업의 조업 정상화에는 3~6개월이라는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이 나오면서 협력업체와 중소기업 등 지역 경제를 넘어 국가 연관산업에도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는 포항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 전자, 조립금속, 일반기계 등 연관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바가 큰 만큼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돼야 한다”라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한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태풍으로 인한 철강기업 피해의 심각성과 철강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차원의 특단의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조속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의 절실함을 호소하고, 철강산업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포항을 하루빨리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시켜 지역의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의 정상화는 물론 지역경제가 한단계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우리나라 경제에 영항이 큰 포항 철강 산업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차원의 지역 산업위기 극복 대책 마련을 위해 하루빨리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야 한다”며, “유관기관과 협조를 통해 태풍 피해를 입은 지역 내 기업들의 현실적인 지원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전준혁·피현진기자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