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낭만과 실용 사이

등록일 2022-09-13 18:13 게재일 2022-09-14 17면
스크랩버튼
산다는 건 낭만과 실용 사이의 줄타기가 아닐지. /언스플래쉬

아이폰의 새로운 시리즈가 출시되었다는 소식에 괜스레 통장 잔고를 확인해본다. 어제까지만 해도 멀쩡하게 잘 쓰던 핸드폰의 속도가 어쩐지 급속도로 느려진 것만 같다. 카메라 화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건 느낌에, 그립감도 만족스럽지 않고, 액정이 너무 작은 것은 아닌지, 용량이 모자란 것은 아닌지, 쓸데없는 투정을 늘어놓게 된다. 아이폰 시리즈에 추가된 기능을 살펴보고 있노라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소유하기만 해도 금방 편리해질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내가 얼마나 많은 기기를 보유하고 있는지 헤아려본다.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펜슬, 에어팟과 노이즈 캔슬링이 되는 헤드폰, 초경량 노트북…… 요리하다가 ‘시리야, 8분 타이머’하고 외치면 정확한 시간에 알람이 울리고 펜과 노트는 물론이거니와 지갑을 가지고 다닐 필요도 없다. 이런저런 기기를 용도에 맞게 사용하다 보면 문득 아, 얼마나 편안한 세상인가, 하고 감탄하게 된다.

스마트해져 가는 세계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소비하게 되는 것들도 있다. 애플워치를 사고 싶은 이유는 친구가 갖고 있기 때문이다. 터치 한 번으로 집 안의 모든 것이 제어된다는 리모컨에 눈독 들이는 것은 인터넷에서 마주친 광고 때문이다. 많은 물건이 생겨났다가 사라진다. 발 빠르게 주시하지 않으면 늦었다는 소리를 듣는다. ‘말도 안 되게 편리하다’는 추천에 구입한 로봇청소기에는 뽀얀 먼지가 내려앉았고 ‘죽은 빵도 살려낸다’는 토스터는 사용하지 않은 지 오래다. 이 모든 소비가 정말 나의 의지는 맞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

작년 12월, 나는 보자마자 첫눈에 반한 동네로 이사 왔다. 이곳이 마음에 들었던 가장 큰 이유는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 있지 않다는 점이었다. 저층 빌라들로 이루어진 단지는 고요하고 평화로웠다. 개성 강한 맛집과 카페들이 넘친다는 것도 좋았다. 커다란 마트나 병원처럼 편리에 의한 공간은 부족하지만 산책할 수 있는 거리가 잘 조성되어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었다. 한 가지 문제가 있다면 우리 집이 꼭대기 층이라는 것이었다. 승강기가 없는 건물의 4층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불편하다. 지하 주차장에서 올라가게 되면 숨이 가빠오고 거기다가 손에 든 짐이라도 많은 날엔 팔다리가 바들바들 떨린다. 엘리베이터가 얼마나 훌륭한 발명품인지 여실히 깨닫는 요즘이다.

재밌는 점은 승강기가 버젓이 존재하는 건물에서도 사람들은 일부러 계단을 이용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건강상의 목적뿐만 아니라 자기 육체를 사용하여 걷는 감각을 느끼고자 할 때가 있다. 온갖 단점이 넘쳐나는 복층 구조가 ‘자취생들의 로망’이라고 불리는 이유도 자명하다.

인간은 실용적인 것으로만 살아갈 수 없다. 우리는 무의미한 것들이 얼마나 귀한 것인지 알고 있다. 그러니까 최백호의 ‘낭만에 대하여’의 가사, ‘밤늦은 항구에서’ ‘돌아올 사람은 없을지라도 슬픈 뱃고동 소리를 들어’보는 마음이 우리의 시간을 얼마나 아름답게 만들어주는지 안다. 편리하고 실용적인 상품보다 다음날 시들어버리고 마는 꽃 한 송이가 주는 설렘도 느껴본 적 있을 것이다. 부치지 못할 편지를 쓰면서 눈물 흘리는 일처럼 어리석은 일이 때론 우리 삶을 지탱하는 놀라운 힘이 될 때가 있다.

물론 인간은 낭만만으로 살아갈 수도 없다. 낭만을 꿈꾸는 사람들은 그것이 삶으로 들어왔을 때 예상치 못한 부조화를 겪게 될 것이다. 그것은 쓸데없는 일에 힘을 쏟는 것이며 책임보다 무책임의 영역에 더욱 가깝다. 어슴푸레한 새벽에 만나게 되는 직장인의 무거운 발걸음에서 낭만을 발견하는 사람은 그날 아침 출근하지 않는 사람일 것이다. 너무 싫은 사람마저도 사랑해버리겠다는 포부를 외치는 사람은 상사의 무차별적인 폭언에 시달리면서도 직장을 그만두지 못하고 속으로 삭이는 말단 직원이 아닐 것이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현실에 발을 디디면서 살아가는 이들을 마주치면 낭만이라는 단어는 허무하게 휘발되고 만다. 먹고 사는 일은 낭만보다는 실용에 무게를 더 싣는 것이고 그러다 보면 때때로 자기 연민에 빠지기도 쉽다. 세상은 숨 쉴 틈도 주지 않는 답답한 곳으로 느껴진다. 모든 것을 쓸모 있음과 없음으로 구분한다면 나 자신의 존재는 과연 유의미한 것인지 고뇌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살아간다는 건 낭만과 실용, 이 두 세계를 아슬아슬하게 줄타기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현실에 발붙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것들에 타협하면서도 허상에 가까운 관념을 꿈꾸기 위해 갖고 있는 에너지를 아무렇게나 소비하는 것.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분명히 어렵다. 낭만과 실용을 오가며 고민하는 것 자체가 감상적 태도로 현실을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아이폰과 꽃 한 송이 사이에서 갈등하는 오늘을 지나고 조금 더 선명하게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내일이 올 것이라고 기대해보기로 한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