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 실무위 개최<br/>신한울 3·4호기, 계획보다 1년 앞당긴 2024년 착공 추진<br/>경주 SMR·울진 원자력수소 산단 조성 등 적극 건의키로
정부가 원전발전량을 대폭 확대하는 등 ‘탈원전 정책’ 폐기를 구체화하고 경북도가 준비해온 각종 원전산업 활성화 대책이 정부 국책과제로 반영됨에 따라 국내 원전집적지인 경북도의 원전산업이 활력을 얻고 있다.
경북도는 신한울원전 3·4호기 조기건설과 원전관련 국가산단 조성 등 원자력 관련 현안사업 추진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경북도는 31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경북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 실무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위원회는 원전지역 지역발전과 주민의 생활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2012년도에 구성된 ‘경북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추진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실무기구다.
경북도는 현재 2025년 착공예정으로 되어있는 신한울원전 3·4호기를 2024년으로 1년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또 미래 SMR 수출시장 선점과 값싼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경주에서 준비 중인 SMR 국가산단 및 울진에 계획중인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 사업도 추진한다.
국토부는 올 연말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를 위해 시군과 함께 입주기업 수요주사 등 원전관련 국가산단 조성지로 최종 선정되도록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원전산업 생태계 활성화와 세계 최고 원전 기술력 복원에 필요한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조성, 원자력안전규제 업무의 효율성 및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원자력안전위원회 경주 이전, 국가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대국민 소통을 전담할 국립 탄소중립 에너지 미래관 설립도 추진한다.
경북도는 이날 압축된 위원회 의견을 원자력정책 및 국정과제 추진에 적극 반영하도록 담당 부처를 설득하고, 국비예산 반영, 실제 사업 추진까지 적극적인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앞서 지난 4월 경북도는 경북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추진위원회를 열어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 재개, 경주 SMR 국가산단 조성,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 등 8건의 핵심 사업을 건의했다. 이 중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 재개, 경주 SMR 국가산단 조성, 원자력안전위원회 경주 이전,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설립,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 국립 탄소중립 에너지 미래관 설립 등 6개 사업이 정부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하지만 침체된 지역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원전 조기건설 등을 정부에 적극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현 정부 출범 후 적극적인 노력으로 우리 도의 주요 건의 사업들이 국정과제에 반영된 것은 반가운 일”이라면서도 “국정과제에 포함됐기는 하나 실제 사업이 확정되고 결실을 얻기까지는 수많은 어려움이 있는 만큼, 정책추진에 적극 반영해 경북 원자력 산업을 육성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0일 신규 원전 6기 가동과 기존 원전 12기 계속운전으로 오는 2030년에는 원전 발전 비중을 전체 전력 발전량의 3분의 1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는 내용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을 마련하는 등 ‘탈원전 정책’ 폐기를 구체화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