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생협 활동가에게서 소통 말고 대화를 하고 싶다는 말을 들었다. 이게 무슨 말인가 싶어 사전을 찾아보니, 소통의 사전적 의미는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함’, 또는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이었다. 문자 그대로 보면, 오해 없이 의견이 잘 전달되었다는 뜻이니, 일방적으로 전달만 해도 오해만 없으면 소통했다고 할 수 있게 된다. 최악의 경우,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 자기의 뜻을 아랫사람에게 전달해도 소통은 소통인 셈이다. 그에 비해 대화의 사전적 의미는 ‘마주 보고 이야기를 주고받음’이니, 당연히 평등하고 양방향이다. 그 활동가가 소통 말고 대화를 하고 싶다는 것은 일방적으로 전달만 받고 싶지 않고 서로 동등하게 논의하고 싶다는 소망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소통과 대화의 차이를 생각하다 보니, 아이들이 초등학교 다니던 때 일이 생각난다. 어느 날, 아이들에게 가족회의를 하자고 하니 질색을 했다. 엄마 하고 싶은 말만 할 건데 무슨 회의를 하느냐는 것이다. 어른과 아이가 회의를 한다면 십중팔구 어른만 이야기하게 된다는 것을 아이들은 일찌감치 간파한 것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 사회는 나이 많고 지위 높은 사람은 일방적으로 말하고, 나이가 어리거나 지위가 낮은 사람은 열심히 듣는 문화가 팽배해있다. 그래서 질문을 하거나 조금이라도 다른 의견을 말하면 말이 많다거나 건방지다는 평판을 듣기 일쑤다. 이런 분위기는 비단 정치권이나 법조계뿐 아니라 사회 전반 곳곳에 뿌리박혀 있다.
이렇게 된 데에는 권위주의와 엘리트주의가 크게 작용한다. 그래도 요즘 스타트업에서는 수평적 문화가 많다고 하니, ‘너희는 나보다 아래니까 내가 하는 말 들어’라는 식의 권위주의는 조금씩 극복해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내 판단이 너희보다 옳아’, ‘너희는 모르니까 내가 알아서 할게’라는 엘리트주의는 개선하기가 요원하다. 엘리트주의의 기저에는 효율성이라는 사고가 깔려 있고, 대화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요즘 협동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책을 보는 중이다. 내가 28년간 몸담고 있는 생협에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협이야말로 상부상조의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결사체여서 영리 조직보다 민주적 대화 문화가 발달했을 것 같지만 예상외로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 나 역시 생협에서 임원을 몇 번 했는데도 그동안 잘못 알고 관행적으로 해온 것들이 얼마나 많았는지 이번 공부를 통해 깨닫고 낯이 뜨거웠다.
생협에서 대화 문화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조합원에게 임원 입후보 기회를 공개적으로 주어야 하고, 임원들은 조합원에게 민주적 통제를 받아야 한다. 이사회에는 지역 대표와 부문별 대표뿐 아니라 연령, 경제 수준, 1인 가구, 나아가 환경 문제까지 고민하는 조합원이 골고루 참여해야 한다. 그래야 대화의 폭이 넓어지고 자주 자립 자치라는 생협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렇게 생협부터 대화로 협동을 실천해간다면 우리 사회는 조금 더 살 만한 세상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