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 장마가 지나고 난 바닷길/ 깊게 패인 여울물 소리에 새우떼의 선잠을 깨우는/ 밴댕이와 알 품은 병어들의 놀이터가 돼버린 전장포 앞바다에서는/ 서남쪽 흑산해에서 진달래꽃 피기를 기다렸다가/ 뻘물 드리우는 사리물 때를 기다려/ 뿌우욱 뿌우욱 부레로 내는 속울음으로/ 내 고달픈,/ 고향에 다다른 칠월의 갯내음을 아가미로 훑는다”
김옥종 시인의 ‘민어의 노래’ 1연이다. 목포 출신인 시인은 한때 조폭에 몸담았으나 격투기로 진로를 바꿔 세계적인 격투 대회 ‘K-1’에 진출했다. 데뷔전서 패한 후 은퇴, 주방장으로 변신해 민어 횟집을 운영하다 전남 광주에 ‘지도로’라는 식당을 새로 열었다. 학창 시절부터 주먹 세계에 있을 때도 시를 써온 그는 2015년 문학지 ‘시와 경계’ 신인상으로 등단한 후 5년 만에 첫 시집 ‘민어의 노래’(휴먼앤북스)를 출간했다.
“뿌우욱 뿌우욱 부레로 내는 속울음으로 내 고달픈, 고향에 다다른 칠월의 갯내음을 아가미로 훑는다”는 문장을 읽으면 당장이라도 장비를 챙겨 민어낚시에 나서고 싶다. 민어배 선장들은 민어가 부레로 뿌우욱 뿌우욱 내는 소리를 추적해 배를 댄다. 여름철 최고의 보양식으로 각광 받으며 값이 치솟기에, 큰놈 한 마리만 잡아도 뱃삯 본전 뽑고도 남는 게 민어 낚시다.
그런데 이 민어 낚시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우선 멀다. 제철 민어를 낚으려면 고흥이나 해남, 신안으로 가야 하는데 민어 찾아 이천 리 대장정이다. 둘째, 힘들다. 그늘도 없는 바다 위, 뙤약볕을 맞으며 낚시하기란 정말 고역이다. 장거리 운전과 쪽잠으로 지친 몸은 새벽 출항에 이미 파김치가 돼 해가 뜰 무렵이면 푹푹 삭는다. 셋째, 안 잡힌다. 초릿대가 훅 꺾여 챔질해 보면 얄궂게도 장대, 백조기, 메퉁이가 올라온다. 민어는 경계심이 높아 입질이 굉장히 약다.
왕복 유류비에 선비, 기타 부대비용까지 감안하면 민어는 잡아서 먹는 게 아니라 사 먹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서너 사람이서 인당 6~7만원씩 걷어 사 먹는 게 훨씬 편하다. 그걸 알면서도 낚시꾼 마음이 또 그렇지 못하다. 낚시꾼만큼 유혹에 약한 사람들도 없다. 물고기를 유혹하기 위해 스스로 유혹당하는 족속들이 아닌가. 마침 고흥 나로도와 거금도에서 민어가 제대로 터졌다는 소식에 귀가 팔랑였다. 한 사람이 열댓 마리 우습게 잡는다고 하니 안 가고 배길쏘냐.
나로도 가는 길, 민어에 얽힌 웃기는 추억 하나 떠올랐다. 임자도 출신 김두안 시인 초청으로 시인들이 놀러 갔다. 널찍한 한옥집에 도착하니 8킬로그램짜리 민어가 기다리고 있었다. 민어회에 소주 마시는 동안 김두안 시인이 썰을 풀기 시작했다. 신안 앞바다는 고려시대 보물선들이 많이 침몰했는데, 자기는 어릴 적에 상평통보로 짤짤이를 했다는 것이다. 한술 더 떠서 바닷가에 굴러다니는 술잔 하나를 주워 왔는데, 거기 술을 따르니까 술잔 속에서 웬 소복 입은 여자가 장구를 치더란다. 김두안 시인의 ‘혼이 담긴 구라’가 민어회 맛을 돋웠다. 그 술잔은 결국 못 봤다.
다음날 새벽 일찍 배에 올라 열심히 낚시했다. 조과는 거의 꽝에 다름없는 몰황이었다. 퉁치라 불리는 민어 새끼 두 마리, 퉁치만 한 백조기 한 마리가 조과의 전부였다. 그나마 일행 중에서 내가 나은 편이었다. 엊그제까지만 해도 그렇게 잘 나온다더니, 역시 소식 듣고 가면 지각이다. 결국 민어 유혹에 실패해서는 어시장에 가 갯장어나 좀 샀다. 올라오는 길에는 보성에 들러 짱뚱어탕을 먹었다. 어시장 좌판과 미식의 유혹에 넘어간 어리석은 낚시꾼이 바로 나다.
“ 세월은 소리 내어 울지 않는 것/ 민어 몇 마리 돌아왔다고 기다림이 끝난 것은 아니다/ 새우 놀던 모래밭을 파헤쳐/ 집 지을 때부터 플랑크톤이 없던 모래밭에/ 새끼를 품어내지 못한 오젓, 육젓이 밴댕이를 울리고/ 깡다리를 울리고/ 병어를 울리고/ 내 입맛 다실 갯지렁이도 없는 바다에 올라 칼끝에 노래하던/ 민어의 복숭아 빛 속살은 다시 볼 수 없으리라”(김옥종, ‘민어의 노래’ 3연)
아아, 낚시꾼은 소리 내어 울지 않는 것이다. 민어 몇 마리 못 잡았다고 기다림이 끝난 것은 아니다. 내년 여름, 바다에 올라 초릿대 끝에 노래하는 민어의 복숭아 빛 속살을 반드시 다시 보고 말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