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성인들로 구성된 소설을 소리 내어 읽는 모임에 참여했다가 실망한 적이 있다. 참가자들이 책을 읽으면서 문자 그대로 읽지 않고 조사를 바꾸는 것은 다반사이고 읽고 나서도 내용을 잘못 이해했기 때문이다. 이런 오독은 독서 모임에 참여할 때마다 가끔 보는 일인데, 문제는 그렇게 잘못 이해한 것을 다양한 해석이라는 명분을 내걸며 우길 때 참 난감하다.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이라도 이런 오독은 종종 일어난다. 다행히 모임에서는 서로 자기가 읽은 것을 나누면서 고칠 수 있지만, 취업을 준비하거나 직장 생활을 할 때는 한순간 잘못 이해하면 큰 낭패를 보기 때문에 문해력이 부족한 사람은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문해력은 원래 문자를 읽고 쓸 줄 아는 정도였지만, 지금은 글의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의미적 읽기’까지 수행하는 정도를 실질적 문해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도 문해란 다양한 내용에 대한 글과 출판물을 사용하여 정의, 이해, 해석, 창작, 의사소통, 계산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초 문해력을 습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그러나 사회가 급속히 변하면서 알아야 할 어휘가 급속히 늘어나는 데다, 관련 지식이나 정보가 없으면 정보 문서를 이해하기 어려워서 실질 문맹률은 점점 늘어난다. 우리나라는 3년마다 성인 문해력 수준을 조사하는데, 2020년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중학교 학력 이하의 문해력을 가진 사람은 모두 1천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런 고민에 응답하듯, 7월 7일부터 10월 6일까지 EBS에서 ‘당신의 문해력+’를 방영하고 있다. 작년에 방송된 ‘당신의 문해력’이 6부작이었는데 올해는 그 두 배가 넘는 13부작이라고 하니 문해력 문제가 얼마나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인지 짐작할 수 있다. 방송을 보니, 면접을 볼 때 면접관의 질문 의도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엉뚱한 답을 하거나 거래처에서 온 업무 메일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출연해 경각심을 높여주었다.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고 새로운 단어를 발견할 때마다 사전을 찾고 문맥에 맞게 써보는 것이 좋다. 문장 간 연결 능력을 키우는 데는 추론적 질문하기가 효과적이다. 추론적 질문은 내가 강의할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다.
평소 문해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올해 EBS 문해력 테스트에서 주식 매매 수수료나 휴대폰 약정 할인 문제를 보니, 눈앞이 캄캄했다. 2020년 EBS 문해력 조사에서 실질 문맹률이 75%라고 나왔다는데, 이번 테스트에도 당황한 사람이 많을 것 같다.
문해 능력 평가는, 문자 중심의 산문 문해, 서식과 도표를 포함한 문서 문해, 계산이 필요한 숫자 문해로 구성되어 있다. 인문학 중심으로 책을 읽다 보면, 사회 변화에 둔하고 숫자 문해에도 취약해지기 쉽다. 새로운 문물에 관심을 가지고 알아가려는 태도도 문해력을 키우는 데 꼭 필요하다는 것을 추가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