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학교는 도대체 무엇을 가르치나

등록일 2022-07-27 19:42 게재일 2022-07-28 19면
스크랩버튼
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한동대 교수

대학 캠퍼스에서 저질러진 성폭행에 이은 안타까운 죽음이 언론지면을 뒤흔든다. 우발적인 범행이었는지 아니면 계획된 살인이었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등교육의 현장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진 셈이다.

어느 고등학교에서는 여교사가 남학생과 부적절한 관계를 가졌다고 한다. 성적조작 등 정상적인 학교업무 방해까지 의심된다고 한다. 교육의 현장이 어디까지 무너져야 하는지 도무지 헤아릴 길이 없다. 사람을 가르치고 길러야 하는 교정에서 도무지 상상조차 하기 힘든 일들이 발생한 것이다. 대학도 고등학교도 교육기관으로서 일정 부분 책임감을 느껴야 할 터이며 유사한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와 경계를 위한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나라의 앞날을 생각할 때, ‘교육’은 어느 정도의 우선순위를 차지해야 할까. 소프트파워(Soft Power)를 주창한 하버드대 조지프나이(Joseph Nye) 교수는 ‘21세기는 군사력이나 경제력을 근간으로 하는 하드파워(hard power)가 아니라, 매력을 통한 자발적 동의에 의해 얻어지는 능력이 중요해 질 것’으로 예견하였다. 즉, 부국강병을 앞세우던 경성(硬性)국가의 시대로부터 문화를 토대로 한 연성(軟性)국가의 시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문화는 교육, 학문, 예술, 과학과 기술 등 인간의 이성 및 감성을 토대로 한 창의적 노력과 관련된 모든 분야라고 하였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가 되어 소프트파워가 주도하는 시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나라의 앞날을 준비하고 미래비전을 세워가는 일에도 힘의 논리보다는 문화와 교육의 역할이 크게 주목되는 바이다.

교육의 현장을 어찌할 것인가. 지난 정부도 교육에 그리 높은 우선순위를 두지 않았더니, 새 정부에는 교육을 떠올릴 겨를조차 없어 보인다. 발등에 떨어진 경제적 난관과 정치력 조율에 매달린 나머지, 긴 미래를 두고 나라의 앞날을 조망할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찾을 길이 없다.

교육의 현장에서 목격되는 부적절한 사고와 사건들은 우리 교육이 나라의 리더십에게 얼마나 심각하게 도외시되고 있는지 우회적으로 그러나 날카롭게 드러낸다. 이런 경고음을 치명적으로 인식하고 치밀하게 대응하여 교육이 지켜야 할 자리를 지켜내야 한다. 교육을 사람을 기르는 일이다. 변화하는 세상이 뒤틀린 가치를 끊임없이 제시해도, 교육이 제자리를 지키며 바른 기준을 꾸준히 가르친다면 나라와 사회는 균형을 잡고 나아갈 바를 찾아낼 터이다.

교육현장의 무너진 모습에 교육을 맡은 이들이 특별한 각성을 해야 함은 물론이다. 소프트파워의 맨 앞자리에 선 교육은 학교만 하는 게 아니다. ‘한 아이를 기르는 일에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는 아프리카 속담은, 교육의 책임이 어느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한정되지 않았음을 웅변한다.

무너진 성도덕과 비뚤어진 성인지감수성은 우리사회 구성원 모두가 책임감을 가지고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발현의 장소가 ‘학교’였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교육이 스러지면 나라가 무너진다.

오그러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