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몸살이다. 대통령의 고백처럼 ‘세계가 힘든 터에 뾰족한 방법이 없는지’도 모른다. 코로나를 헤쳐오면서 풀렸던 돈들이 인플레이션을 추동하고 자칫 빠져나갈 달러를 방어하려면 금리의 추가상향조정도 이미 보인다. 물가는 치솟는데 노동문제까지 겹치니 누가 해도 어려울 판이다.
국민도 안다. 우리만 죽을 쑨다면야 똑똑한 국민이 가만히 있었겠나. 온 세상이 힘든 판이니 정부라도 지혜를 모아 노력해 달라는 게 아닌가. 코로나가 다시 기승을 부리는데 주무장관마저 공석이 아닌가. 정책의 이름이야 어떻게 부르든 국민은 모른다. 하루가 멀다하고 급격히 올라가는 감염추세를 꺽어야 하지 않겠나. 국민이 안심하고 건강하게 일상을 이어가도록 지켜주시라.
경제가 힘든 가운데 한 가닥 힌트가 보인다. 반도체. 세계증시의 폭락기도 가운데에도 대만의 반도체기업, TSMC가 사상초유의 이익을 기록하며 초강세를 보인다. 시장트렌드와 수요추세로 보아 반도체시장의 장기적 성장과 발전은 거의 분명하다. 사물인터넷과 자동차 등 관련업계 수요와 4차산업혁명의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 더욱 급격한 상승세가 예견된다고 한다.
이에 우리 관련업계는 물론 정부의 정책기조도 반도체산업에 초점을 맞추는 중이다. 정부가 최근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하면서 2027년까지 반도체 관련 대학정원을 5천700명 늘리기로 했다. 2031년까지 관련 인재양성 규모를 4만5천명에 달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성장 가능성이 확인된 분야에 집중하여 투자하겠다는 생각에는 같은 마음이다.
교육이 이뤄야 할 바를 생각하면 한 가닥 걱정도 있다. ‘교육이 바로 경제다’라는 생각. ‘돈이 안 되는 교육은 교육이 아니라거나, 돈을 벌기 위해서만 배워야 한다’는 식의 사고방식은 위험하다. 배우는 아이들을 경제를 일으키기 위한 도구로만 바라보는 정책이 건강할 수 있을까. 그렇게 인식되며 자라나는 아이들은 혹 세상을 돈으로만 바라보지 않을까.
귀하고 소중한 가치들을 풍성하게 가르쳐 험하고 거친 세상에도 넉넉하고 여유있는 인성으로 길러야 하는 게 아닌가. 어른들의 기준과 욕심으로만 아이들을 몰아간 끝에 각박하고 메마른 사람들만 기르게 된다면 어찌 되는가. 대학정책은 가르치는 학문분야들의 영역 간 균형과 상생 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반도체 관련 분야에만 투자를 몰아세우는 방식도 아슬아슬하다. 견제와 균형은 교육에도 필요하다.
반도체로 가다가 반교육이 될까 두렵다. 반도체를 일으키려다가 절반만 가르치거나 아예 교육에 반하는 결과를 낳으면 어찌하겠나. 교육은 사람을 길러야 한다. 교육은 인적자원을 기르는 일이 아니며, 사람은 돈 만드는 기계가 아니다. 교육이 길러낸 사람이 다양한 분야에서 갈고닦은 실력을 발휘하며 주변을 밝히고 이웃을 섬기도록 이끌어야 한다.
재주와 욕심으로만 그득한 인성들이 저지르는 실수는 차고도 넘친다. 이해와 관심, 공감과 배려와 함께 쌓아올린 실천력으로 승부하는 사람을 길러야 한다. 교육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