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올해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 확산 우려

곽인규 기자
등록일 2022-07-06 18:41 게재일 2022-07-07 10면
스크랩버튼
상주감연구소, 적기 방제 당부<br/>“여름 장기간 고온 지속되다가<br/>  8월께 갑자기 기온 떨어질 듯”<br/>  낙과·연화·비대 불량에 당도↓

[상주] 감 수확량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둥근무늬낙엽병을 적기에 방제해야 한다는 감 전문기관의 당부와 우려가 나왔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원장 신용습) 상주감연구소는 올여름 장기간 고온이 지속되다 8월께 갑자기 기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기상청 장기전망에 따라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 확산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둥근무늬낙엽병 발병은 감 재배지 어느 곳이던 발생하는 병으로 해마다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피해를 입은 나무는 조기에 잎이 떨어지고 과실이 낙과되거나 연화되며, 낙과되지 않더라도 과실 비대가 불량하고 당도가 떨어진다.

만성형 둥근무늬낙엽병은 9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병반부 안쪽이 적갈색, 주위는 검은색 띠가 나타나는 데 오래되면 녹색의 띠로 변하고, 주위는 서서히 붉은색으로 번지면서 잎이 떨어진다.

급성형일 경우는 8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부정형의 갈색 반점이 잎에 발생함과 동시에 낙엽이 되고 낙과되며, 전형적인 둥근무늬낙엽병보다 빨리 진행돼 푸른 상태로 낙엽이 되므로 약해로 혼돈하기 쉽다.

특히 여름철 고온이 끝난 후 단기간(1~2일)에 기온이 갑자기 낮아질 경우(3~5℃) 발병이 더욱 심하다.

지난해에는 발병 후 잎이 붉게 변하기 전에 일시에 낙엽 및 낙과가 이뤄져 농가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둥근무늬낙엽병이 발병했다면 무엇보다도 과원 관리가 중요하다.

조기낙과와 낙엽으로 세력이 약화된 상태이므로 밑거름 시비에 질소질 비료를 늘이고, 시비량을 늘려 수세를 안정화시켜야 한다.

송인규 상주감연구소장은 “둥근무늬낙엽병은 작황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 관리를 철저히 하고 적기에 방제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