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우리는 서로의 등을 맞대고 자

등록일 2022-07-05 18:27 게재일 2022-07-06 17면
스크랩버튼
개를 키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감정적 부분이 있다. /언스플래쉬

‘등을 지다’는 말처럼 서운하게 느껴지는 문장이 또 있을까. 그것은 나의 시선이 더 이상 당신을 향하지 않겠다는 뜻이며 우리라는 관계를 떠나 반대의 방향으로 가겠다는 의미를 가진다. 상대의 등을 바라보는 행위는 애달프다. 돌아보기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과 끝내 좁혀질 수 없는 간극이 떠오른다. 등이라는 신체 기관은 어긋남에서 오는 슬픔의 상징일지도 모른다.

내게 자신의 등을 보이는 존재가 있다. 팔뚝만 한 크기의 작은 개다. 보리라는 이름을 가진 이 친구는 조용히 다가와 자신의 등을 내 몸에 밀착시키곤 한다. 그러면 뜨거우면서 말캉한 감정이 내 가슴을 스치고 지나가는 게 느껴진다. 작은 소리에도 날카롭게 반응하는 동물이 다른 종의 동물에게 아무렇지 않게 등을 보인다니. 이것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지 이전의 나는 미처 알지 못했다.

우리는 서로의 등을 맞대고 잔다. 취침 시간이 되면 이부자리를 정돈하면서 보리의 자리를 마련해준다. 그리고 손바닥으로 옆자리를 툭툭 친다. 나의 작은 개는 손짓을 따라서 침대 위로 폴짝 뛰어오른다. 나는 보리의 배를 긁어주기도 하고 머리부터 꼬리까지 이어지는 털의 결을 따라 가만가만 쓰다듬어주기도 한다. 그러다가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잠에 빠져든다. 웅크리고 자는 중에 등 뒤에서 따뜻한 기운이 닿는다. 둥글게 말린 척추가 느껴지면 자연스레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내 뒤를 지켜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그 신비롭고 이상한 사실에 관하여.

개를 키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끼게 되는 감정적 부분이 있을 것이다. 개가 인간에게 주는 사랑과 기쁨이 있지만 그만큼 굉장한 책임감을 져야만 한다. 한 생명이 자라날 수 있도록 돌보는 것은 당연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훈련하고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가끔 개와 관련된 사건사고가 들려오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기도 한다.

캐롤라인 냅은 자신의 저서인 ‘개와 나’에서 말한다. “나는 개에 대해 감상적이지는 않다. 모든 사람이 개를 키운다고 세상이 좀 더 살기 좋은 곳이 되리라고 생각하지도 않고, 개와 주인의 관계가 언제나 건강하고 유익하다고 생각지도 않는다.” 순간의 선택으로 개를 키우게 된 저자는 개와 함께 사는 삶이 생각보다 녹록지 않다는 것을 알았고 ‘개는 우리를 정답고 온화한 세계로 이끈다’는 말이 황당하게 느껴졌다. “개는 정답고 온화할 때도 있지만, 무서울 때도, 짜증 날 때도, 혼란스러울 때도 있기 때문이다. 때로는 공격적이고 고집불통에 제멋대로이기도 하다.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많다. 또 주인에게 책임감과 강제성, 그리고 의존성에 대해서 온갖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녀의 말대로다. 개와 함께 산다는 건 아름답지만은 않다. 우리는 서로를 사랑하지만 그만큼이나 서로를 이해하기 어렵다. 당연한 일이다. 나는 적확한 문장으로서만 마음과 마음이 닿을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러나 보리와 나는 같은 언어를 사용할 수 없다. 우리는 손짓이나 뉘앙스로 소통한다. 그러다 보면 예상하지 못했던 오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어린 시절 상상했던 드넓은 마당에서 개와 함께 뛰어노는 목가적 풍경은 내 것이 아니다. 나의 개는 동화에서 본 것처럼 아름답고 충성도 높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보다 훨씬 실질적인 문제를 제공한다. 내가 아끼는 물건을 마구잡이로 물어뜯어 놓고, 나의 말을 깡그리 무시하기도 하며, 오줌을 싼 자리에는 지린내가 스멀스멀 올라오고, 별것 아닌 일에 지나치게 예민하고 신경질적으로 구는 면이 있다. 보리는 내가 꿈꾸던 완벽한 반려견이 아니며 나 역시도 보리에게 있어서 완벽한 반려인이 아닐 것이다.

그렇지만 밤이 되면 우리는 동시에 같은 자리에 눕는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자신의 자리를 찾는다. 컴컴한 어둠 속에서 등과 등이 맞닿는다. 내 뒤통수는 내 시선이 닿지 못하는 곳. 내가 볼 수 없는 곳을 지켜주는 존재가 내 곁에 있다. 위안과 안도, 그리고 약간의 슬픔이 찾아온다.

나의 작은 개는 이런 질문을 던지게 한다. 너는 나의 뒤에서 무엇을 보는 거냐고. 우리는 서로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기에 등과 등이 맞닿는 것으로 안심한다. 안희연의 시 ‘그의 작은 개는 너무 작아서’에는 이런 시구가 있다. “한 존재를 끌어안고 너무 깊이 와버렸기 때문에/ 자신이 끌어안은 것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이대로라면 행복하다고 충분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서로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밤을 보내고 아침이 오는 소리를 듣는다. 척추뼈의 감각에서 사랑을 읽는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