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선진기업에 이르는 길

등록일 2022-05-16 18:03 게재일 2022-05-17 18면
스크랩버튼
정상철포스코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정상철포스코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선진기업에는 꿈과 비전이 있다. 꿈이 없는 개인, 미래가 없는 기업은 나침판 없이 항해하는 것과 같다. 글로벌 선진기업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15만 직원이 회사에서 제시하는 성장 비전을 가지고 끊임없이 선택하고 도전한다.

70년대 1, 2차 석유파동으로 전 세계의 경제가 불황의 늪으로 빠져들고 모든 기업들이 적자와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을 때 유일하게 흑자를 이어왔던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기업문화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일본 나고야의 아이치현에 위치한 도요타시의 옛 지명은 고로모시이다. 1937년 도요타자동차가 설립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주민들의 의지로 옛 이름 대신 도요타시로 바꾸게 된다.

기업에 혁신을 도입하면 초기에는 일과 혁신을 병행하게 되는데 ‘일하는 사고, 일하는 방법’이 습관화 되고 내재화 되어 기업의 문화에 이르게 되면 성공으로 말할 수 있고 일에 혁신을 녹여 낭비 없는 일 문화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혁신은 조금만 텐션을 늦추면 자전거를 달리는 것처럼 흔들거리고 멈추게 된다. 오래된 익숙함을 바꾸는 것이 혁신으로 저항이 따르기에 종합시스템화로 돌아가는 것이다. 도요타인들은 출근할 때 일하러 가는 것이 아니라 개선하러 간다고 한다. 도요타자동차의 개선문화의 물밑에는 인사시스템이 돌아간다.

1989년 간부인사 혁신 때 도장 찍는 관리자에서 생각하는 관리자로, 고가 항목에 부하직원의 성장비전수립을 20% 평가하는 특징이 있다. 1999년 ‘기능직 프로인재개발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서 성장경로의 다양화와 현장 직원들에게도 희망과 꿈을 갖고 자신의 미래에 도전하게 된다. 즉, 14개 부문의 ‘프로인재상’을 그려놓고 최고 전문가로 인증 받는 제도로 누구든 노력하면 성장의 미래가 보이는 것이다.

기업의 혁신이 제대로 움직이려면 혁신 프레임(Frame)과 운영시스템, 계층별 역할이 명확해야 하며, 그 성공 조건은 여섯 가지가 필요하다.

첫째, 기업의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과 목표설정이다. 둘째, 탑(Top)의 지속적인 스폰서십과 혁신리더십이다. 셋째, 일의 속성과 생산프로세스의 특징을 파악하고 적합한 혁신기법을 도입하는 것이다. 실패하는 기업은 유행 따라 혁신을 도입한 경우가 많다. 넷째, 기업문화를 분석하고 혁신지향형 조직개편과 토양을 개간하는 일이다. 다섯째, 운영시스템화 하는 일이다. 여섯째, 인재육성이다.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일하는 사고, 일하는 방법, 문제해결 능력 수준을 높여 일하는 문화를 변화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100년을 지속하고 미래가 있는 선진기업은 그냥 이루어진 것은 없다. 혁신을 도입하여 자사의 일의 속성에 맞게 진화 발전시켜 기업문화로 만드는 것이며, 도요타자동차처럼 전 세계에서 통하는 혁신웨이가 완성되는 것이다. 기업은 혁신을 통하여 조직운영체계와 일하는 사고, 일하는 방법이 내재화, 문화가 된다면 선진기업으로 가는 길인 것이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