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세대간 소통의 도구 5S활동

등록일 2022-05-02 18:07 게재일 2022-05-03 18면
스크랩버튼
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엄주선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사람은 음식을 섭취하여 살아가는데 있어 꼭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그러기에 인류는 탄생 이래 끊임없이 먹을 것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취득하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해왔고 그 시대의 지혜와 지식을 총 동원하여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 결과물들은 종이가 없을 때는 동굴 속의 벽화나 말로 전해졌으며 종이와 글이 발명되면서부터는 글로 이어져 왔고 현대에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영상으로 만들어 검색만 하면 누구나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때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오랜 시간에 걸쳐 정보가 누적되고 발전을 지속하는 데는 많은 사람들의 정리정돈의 노력이 작용하고 있다. 국어사전에서는 정리정돈을 ‘주변에 흐트러진 것이나 어수선한 것을 한데 모으거나 둘 자리에 가지런히 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정리는 ‘흐트러지거나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는 것을 한데 모으거나 치워서 질서 있는 상태가 되게 함’을, 정돈은 ‘어지럽게 흩어진 것을 규모 있게 고쳐 놓거나 가지런히 바로잡아 정리함’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본에서 1945년 패전 이후 기업에서 일하는 직원의 단합과 생산현장을 관리하는 수단으로 정리정돈의 개념을 확장하여 정리(SEIRI), 정돈(SEITON), 청소(SEISO), 청결(SEIKETSU), 습관화(SHITSUKE)의 일본어 표현의 앞 글자인 ‘S’를 따서 5S활동을 창안하였다. 정리는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여 불필요한 것을 버리는 활동이며, 정돈은 정리 후 필요한 것들을 사용 후 되돌리기 쉽도록 어디에(정위치), 무엇이(정품), 얼마나(정량) 있는지를 구분하여 두는 곳을 표준화하는 활동이다.

정돈활동으로 표준화된 현장을 주기적인 청소를 통해 점검하여 문제점을 발굴하고 개선하여 유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청결이며 습관화는 정리, 정돈, 청소, 청결 활동을 반복하여 몸에 배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5S활동을 필자가 지도하는 P사에서도 2005년부터 지금까지 전(全) 공장의 작업현장, 자재창고, 사무실 등을 중심으로 지속해오고 있다. 5S활동은 계층, 근속, 지식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함께 땀 흘리고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애와 협동심을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활동이다.

작업 현장이 잘 정돈되어 있으면 찾고 되돌리는 낭비가 줄어 일의 효율이 향상되고 동선이 줄어 작업 안전이 자연스럽게 확보될 수 있는 활동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너무나 당연하기 때문에 소홀하기 쉬운 활동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이 개념적인 5S활동을 우리가 일하는 현장에 접목하여 작업이 편하고 안전해지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는 생각만으로 되지 않으며 나와 동료를 위하는 마음으로 같이 행동할 때 구현이 가능하다. 최근에 많은 기업들이 MZ세대와의 소통으로 고민하고 있는데 공동의 터전인 작업현장을 안전하고 일하기 좋게 만들자는 공통의 목표로 세대를 넘어 함께 참여하고 일을 통해 소통하는 도구로 5S활동을 적극 권장한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