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2주 앞이다. 대통령이 새로 뽑힐 날이 코 앞인 게다. 국민들의 마음은 어떨까.
대선 다음이 더 걱정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기대와 희망보다는 좌절과 낙심이 한가득이다. 여기까지 왔는데 내일이 보이지 않는다는 자조는 무엇 때문일까. 오늘보다 내일이 나아 보이지 않는 건 왜 그러는 것일까. 어제를 딛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려고 대선을 치르는 게 아닌가. 무엇 때문에 우리는 오늘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가. 누구를 뽑아도 하나같이 절망이라면 굳이 대선은 왜 있어야 하는가. 나라와 국민은 어쩌다 오늘처럼 첨예하게 나뉘었을까. 마음들이 어떻게 이만큼이나 쪼개어졌을까. 어찌하면 우리는 다시 소박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을까. 이미 불가능한 게 아닐까. 너무 멀리 와 버린 건 아닐까.
디지털세상이 도래하고 미디어환경이 바뀌면서 우리는 각자 자기만의 동굴 속에 갇혀버렸다. 온라인과 SNS는 마음에 드는 생각만 늘어놓는 매체만 선택적으로 구독하게 한다. 정치적 경향성이 다르거나 이념향배가 다른 담론에는 등을 돌린다.
다른 생각과 다른 의견에는 끝없이 돌을 던지는 세상. 나누고 견주는 일에는 인색한 관계. 경청과 포용은 생각도 못하는 사람들. 당신은 어느 편이냐고 끊임없이 살피는 만남. 우리 편에게는 한없이 너른 가슴, 다른 편에게는 끝없이 야박한 외침. 메시지(message) 내용보다 메신저(messenger) 사람으로 칼날같이 쪼개지는 태도. 편가르고 짝지으면서 대선판이 흘러간다. 구호와 성토로만 얼룩진 세상에 차분하게 들어보는 아량은 기대할 수가 없다. 마지막 며칠 동안 우리는 무엇을 살펴야 하나.
정직. 뜬금없을까. 꼬리를 물며 드러나는 거짓말들 가운데 정직함을 찾으라는 게 말이나 되나. 적개심을 내려놓고 찬찬히 살피면 진심이 보인다. 나라의 내일과 국민의 일상을 누가 진정으로 담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 걸어온 길과 나서는 태도를 살피면 그의 진실이 그래도 보인다. 조금씩 부족한 내 모습만 생각해도 후보의 흠결 가운데 진정성이 드러난다. 상처와 실수를 넘는 비전과 계획을 찾아야 한다. 어려움을 넘으려는 용기와 실천력을 살펴야 한다.
정치인은 누구보다 정직해야 한다. 공인은 진지함과 진솔함으로 나서야 한다. 해결해야 할 일들의 무게만큼 후보의 언행에는 진중함이 실려야 한다. 비전이 두터워야 하고 계획이 분명해야 한다. 피상적인 구호로는 세상과 시대의 높은 파도를 넘을 수 없다.
어차피 51대 49라는 생각부터 위험하다. 결판은 그리 날지라도 대선후보가 국민의 화합을 이끌지 못한다면 나라는 다시 어려움을 만날 터이다. 겨레의 위대함과 나라의 선진성이 드러나려면 통합의 의지를 살려야 한다. 민생이 살아나고 경제가 일어서려면 이념의 벽을 넘어 어떤 선택이 좋을까. 어려움을 딛고 기회의 창을 열어가려면 우리는 무엇을 택할 것인가. 대선의 표심을 간직한 유권자 국민은 후보들의 진지함과 정직함을 기대한다.
얄팍한 구호로 혹 오늘 속인다면, 그 거짓은 선거 후에라도 반드시 드러난다. 대선에 높은 기대를 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