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의 첫날, 경기도 안양에서 끔찍한 사고가 있었다. 도로 포장 작업을 하던 근로자 세 명이 도로다짐용 중장비 롤러에 깔려 목숨을 잃었다. 롤러 운전기사가 작업에 방해되는 라바콘을 치우려고 장비에서 내린 순간 조작 기어봉에 옷이 걸리면서 롤러가 움직였다고 한다.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로 기어를 중립 위치에만 둔 채 장비에서 내린 게 화근이었다. 희생자 세 분 다 60대로 누군가의 부모이자 자상한 할아버지 할머니였을 것이다.
롤러와 같은 중장비의 경우 운전석이 높은 곳에 있어 시야가 완벽하게 확보될 수 없기에 반드시 신호수의 도움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고 당일 현장에는 신호수가 없었다. 신호수가 없더라도 장비를 멈출 때 시동을 끄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안전불감증에 의한 인재라는 사실이 너무 안타깝고 허망하다. 운전기사는 베테랑이었을 것이다. 수십 년 동안 해온 일이라서, 매일 하는 작업이라서 누구보다도 자신 있었을 것이다. 옷이 기어봉에 걸리는 희박한 우연을 단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을 것이다. 사망한 근로자들 역시 롤러가 등 뒤에서 덮치리라는 걸 상상조차 하지 못했으리라.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라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도로 위에서 사고 현장과 유사한 형태의 작업들이 이루어지는 중이다. 공사 책임자는 매일 작업 시작 전 안전수칙 교육을 실시하고, 작업자들은 귀에 못이 박혀 다 아는 내용이라 하더라도 0.1퍼센트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반복 학습해야 한다. 안전수칙이 철저하게 지켜진다 하더라도 사람이 하는 일이기에, 사람이 만든 기계로 하는 일이기에 돌발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돌발적 위험을 방지하는 최후의 안전장치가 바로 작업 감시자와 신호수다. 이번 사고는 안전수칙이 지켜지지 않은 데다 작업 감시자와 신호수마저 부재한 상태에서 벌어진 비극이다. 도대체 이런 일들이 왜 끊이지 않는 걸까?
고용노동부가 7월부터 10월까지 넉 달 동안 전국 2만4백여 개 사업장의 안전조치 상태를 점검한 결과 64퍼센트에 달하는 1만3천여 개 사업장이 안전조치를 위반해 시정 조치를 받았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50인 이상 사업장의 위반 사례는 크게 줄어든 반면 50인 미만 사업장의 위반율은 증가했다. 안양 사고 현장에는 채 열 명이 되지 않는 근로자들이 작업하고 있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반쪽짜리 법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효과적 제재라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사소한 안전조치가 이행되지 않아 근로자들이 목숨을 잃는 현장은 대개 소규모 작업장인만큼 중대재해처벌법은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만 한다.
사고가 난 안양여고 사거리는 매일 지나다니는 길이다. 배달대행 아르바이트를 하며 스쿠터를 타고 지나거나 산책을 하며 오간다. 사고 다음날, 야권 대선후보가 현장을 찾아 추모했다. 상당수의 산업재해가 작업자의 부주의에서 비롯되므로 작업자 개인 잘못이라는 뉘앙스의 발언이 문제가 됐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작업자의 부주의’를 야기하는, 또 이미 발생한 부주의를 결국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하는 허술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성토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논했어야 한다.
정치인들이 다녀간 후, 진눈깨비가 흩뿌리는 죽음의 현장을 천천히 지나가보았다. 늘 다니는 길이지만 갈까 말까 한참을 망설여야 했다. 채 다져지지 못하고 봉분처럼 쌓여 있는 아스콘 앞에 시민들이 국화꽃과 담배를 올려두었다. 세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롤러는 자신이 무슨 일을 벌였는지 모르는듯 그저 고요하게 서 있을 뿐이었다. 롤러 바퀴에 기댄 국화꽃 뒤로 ‘가꿈’이라는 가게 간판과 ‘행복한 사람들’이라는 빌라가 대비되는 풍경을 차마 오래 바라보지 못했다. 라바콘으로 통제해놓은 현장 주변에서 배달대행 스쿠터가 불법 유턴을 하고, 코로나 불황을 이겨내지 못한 몇 곳의 상점들에는 ‘임대문의’ 현수막이 내걸려 있었다. 눈에 들어오는 모든 장면들이 다 슬펐다.
날이 어둑해지고, 가로등 불빛이 하나 둘 켜질 무렵, 진눈깨비가 세차게 내리는데 한 중년의 남성이 아스콘 앞에 국화꽃을 헌화하고 무릎을 꿇어 두 번 절했다. 현장에 세워진 나무합판에는 시민들이 적어놓은 추모 메시지가 가득했다. 돌아가신 분들도, 사고를 낸 분도 다 안타깝다. 추운 겨울밤, 가족이 기다리는 집으로 가지 못하고 길 위에서 목숨을 잃은 분들의 명복을 빈다. 안양이라는 지명은 불교의 안양정토에서 왔다. 그곳은 괴로움이 없는 안락한 세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