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국비 확보에 힘 실어달라”

이곤영·피현진기자
등록일 2021-11-03 20:14 게재일 2021-11-04 3면
스크랩버튼
대구·경북·국힘, 예산정책협의회<br/>“지방 발전 위해 예산의 판 바꿔야”<br/>  국힘 “대구경북 비상 함께 하겠다”
3일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국민의힘과 ‘2022년도 예산정책협의회’를 가졌다. / 경북도 제공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3일 국민의힘과 ‘2022년도 예산정책협의회’를 갖고 각각 4조원·10조원 시대를 열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대구시청 별관에서 열린 회의에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참석했다. 국민의힘에서는 김기현 원내대표와 이만희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 추경호(대구 달성) 대구시당위원장, 김정재(경북 포항북) 경북도당위원장을 비롯한 지역 의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기현 원내대표는 “신공항 재원 문제라든지 특별법 제정 등 남아 있는 숙제를 해결해야 할 것 같다”면서 “국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다해서 대구·경북이 다시 비상할 수 있도록 국민의힘이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금년도 예산이 한 3조6천억원 정도 반영됐다. 원래 목표했던 4조원에 비하면 아직 한 4천억원 정도가 국회에서 증액이 되어야 한다”며 “증액하고자 하는 예산은 대구시 미래를 위한 예산”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이해를 구해야 할 문제는 당에서 적극적으로 좀 뒷받침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도 “우리나라 예산은 새롭게 판을 바꿔야 한다. 이런 식으로는 지방 균형 발전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대구·경북이 국민의힘에게는 종가집이다. 균형발전을 위해 예산의 판을 바꿔야 한다”며 “찬물로 가득찬 대야에 따뜻한 물 한 종지를 넣는다고 따뜻해지지 않는다. 예산은 물론 국가의 구조를 새롭게 바꾸지 않고는 균형발전이 어렵기 때문에 ‘판’을 바꾸는 데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그간 주로 SOC를 챙기는데 치중했는데, 이제는 R&D를 해야 한다. 특히 인공지능기반의 한글산업 육성과 같은 사업들은 예산투입에 비해 효율적인 사업이고 모자페스티벌과 같은 문화예술 관련 예산도 작지만 중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대구시는 정부 예산안에 미반영됐거나 일부만 반영된 △산업단지 대개조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건립 △대구사랑상품권 발행 등 사업예산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 심의과정에서부터 체계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어 △민간공항 건설 특별법 제정 및 군공항 이전 특별법 개정 △낙동강 수계 대구취수원 다변화 추진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 추진 △서대구역 SRT 고속철도 정차 등 현안에 대해서도 심도있게 논의했다.


경북도는 영일만 횡단 구간 고속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연구개발, 농림·해양, 문화·복지·기타분야 등 신규사업 포함 22건의 사업 추진을 위한 당의 협조를 구했다.


특히, 경북도는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와 남부내륙철도 등 수년간 공을 들였으나 예산이 확보되지 못했다”면서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환동해권 관광산업의 허브로 포항이 재탄생 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경북도는 △고부가가치 소재산업과 벤처 창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 예산 △산업단지 스마트화 예산 등을 요청했으며, 경북의 미래 10년을 책임질 ‘차기정부 지역현안 10대과제’들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나눴다.


/이곤영·피현진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