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와이파이가 LTE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던 것이 5G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돼 약 4배 더 빨라지게 됐다.
공공와이파이는 정부, 지자체, 통신사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가리킨다. 이번에 5G로 업그레이드되는 공공와이파이는 버스 공공와이파이다.
올해 100대 규모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버스 2만9천대에서 5G 기반 공공와이파이가 제공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버스 공공와이파이 5G 시범서비스 개통식’을 열고,‘5G 백홀’을 적용해 기존 LTE 기반 서비스(최대 100Mbps)의 4배 수준인 최대 400Mbps로 속도를 높였다고 했다. 백홀은 상위 기간망과 이동통신 기지국 주변부 하위망을 연결해 와이파이 속도를 향상해주는 전송망이다. 이번 시범서비스는 올해 말까지 전국의 버스 100대에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정부는 서비스 안정성과 통신품질, 이용자들의 와이파이 사용유형 등을 점검하고, 내년과 내후년에는 전국 버스 와이파이 2만9천100대에 단계적으로 5G 백홀을 적용해 국민의 공공 와이파이 체감 품질을 개선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 도서관과 보건소, 공원 등 전국 공공장소 1만6천 곳에 공공와이파이를 구축한다. 와이파이 속도 개선을 위해 단계적으로 차세대 ‘와이파이6E’ 기술도 도입하고, 프로스포츠 경기장과 버스정류장 등 밀집도가 높은 공공장소 400여 곳에는 5G 28㎓ 무선백홀과 10기가 인터넷 백홀 기반 와이파이를 시범구축키로 했다.
이처럼 공공 와이파이망에 5G서비스가 본격 적용되면 한국인 국민 누구나 차별 없이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누리는 디지털 포용 강국으로 거듭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