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는 앵무새와 함께 새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지능을 가졌다. 훈련을 잘 받은 까마귀는 돌고래나 침팬지급 지능을 자랑한다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앞날을 예언하는 신령스런 새로 인식돼 왔다. 동서양의 속담과 설화 속에서도 까마귀는 신령한 새에 잘 비유된다.
반포지효(反哺之孝)라는 말은 자식이 자라서 부모를 잘 봉양할 때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그 유래가 까마귀에서 나왔다. 까마귀는 새끼가 나면 60일 동안 먹이를 물어 키우는데 그 새끼 까마귀가 자라면 60일 동안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주며 은혜를 갚는다하여 유래한 말이다.
고향 까마귀는 반가운 고향 사람을 일컬을 때 쓰는 말이다. 교통이 불편했던 오랜 옛시절, 고향가기가 무척 어려웠던 때 타지에서 고향 사람을 만나면 고향 까마귀 보듯 반갑다는 뜻이다.
고향 까마귀라는 표현 속에는 반가움과 그리움 그리고 정겨움이 모두 섞여 있다. 고향에 대한 향수를 진하게 느끼게 하는 용어다. 고향은 누구에게나 그리움과 추억이 있는 곳이다. 태어나 자라고 부모형제와의 온갖 애환이 서려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고향은 공간이자 시간이며 마음이다. 어느 하나도 분리될 수 없는 복합적 생각이 얽혀 있는 곳이다. 그래서 사람마다 간직한 고향의 모습은 제각각이다.
선거철이 되면 고향 까마귀를 찾는 정치인이 늘어난다. 고향을 등지고 타지에서 활동을 하다 고향 까마귀를 핑계로 고향 사람들 앞으로 찾아온다. 내년 선거를 앞두고 올 추석에도 고향을 찾은 정치 지망생의 모습을 곳곳에서 마주할 수 있다. 고향을 위해 뛰겠다는 그들의 모습에서 바야흐로 정치시즌이 왔음을 깨닫는다. 작금의 고향 민심은 어디로 가는 중일까 궁금하다.
/우정구(논설위원)